•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결혼이주여성 제재 소설의 문화변용 양상에 따른 유형 분류 (Classifying novels about marriage immigrant women according to the aspects of accultura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5.08
29P 미리보기
결혼이주여성 제재 소설의 문화변용 양상에 따른 유형 분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46호 / 413 ~ 441페이지
    · 저자명 : 이경재

    초록

    지금까지 소설속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들이 타자화되는 방식이나 반대로 고유한 정체성을 찾아나가는 방식에 초점이 맞추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는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와 관계 맺는 양식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베리(Berry)의 문화변용(acculturation) 모델을 바탕으로 분류작업을 시도하였다. 비교적 초기에 쓰여진 이순원의 「미안해요, 호 아저씨」에는 조선족 여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동남아 여성으로 확대된 결혼이주의 역사와 그 배경 상황이 잘 나타나 있다. 한수영의 「그녀의 나무 핑궈리」, 백가흠의 「쁘이거나 쯔이거나」, 정인의 「그 여자가 사는 곳」과 「타인과의 시간」에 등장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은 심각한 차별과 폭력에 시달린다. 그 결과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도 유지하지 못하고, 한국사회에도 적응하지 못한 채 주변화(Marginalization)된다. 그 결과 그들은 죽거나 죽이거나 혹은 한국을 떠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고통받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을 다룬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지만, 작가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결혼이주여성을 우리와는 너무도 이질적인 연민과 동정의 대상으로만 고착화시킬 위험성이 존재한다. 서성란의 「파프리카」와 이시백의 「개값」은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에서 주변화되는 양상을 보여주지만, 비극적인 결말로 끝나는 대신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암시한다. 송은일의 『사랑을 묻다』와 정지아의 「핏줄」은 한국 사회로의 동화(Assimilation)와 그 어려움에 대하여 말하고 있는 작품이다. 한국의 다문화가족정책의 핵심은 빠른 시간 내에 이주 여성을 한국 문화에 ‘동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동화와 관련한 이주 여성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 사회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중요한 일이다. 이들 작품에서는 한국인들이 결혼이주여성을 동화시키려는 욕망도 결혼이주여성이 동화되려는 욕망도 뜨겁지만, 가부장적 혈통주의(『사랑을 묻다』)와 인종의 벽(「핏줄」)으로 인해 실패하고 만다. 천운영의 『잘 가라, 서커스』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이 자신만의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려고 하는 분리(Segregation)의 시도가 드러난다. 조선족 림해화는 한국 사회에 통합되고자 두 번(결혼과 취업)이나 시도를 하지만 모두 실패한다. 실패한 이후에는 조선족만의 공동체로 돌아와 한국 사회로부터 스스로를 분리시킨다. 그러나 결국 그러한 분리의 시도는 실패하고 만다. 김재영의 「꽃가마배」, 김애란의 「그곳에 밤 여기에 노래」, 한지수의 「열대야에서 온 무지개」는 다문화 사회의 이상적인 모습인 통합(Integration)에 가장 가까이 근접한 소설들이다. 특히 외국어를 배우는 한국인의 모습과 자신과 같은 처지의 여성을 돌보는 결혼이주여성이 등장하는 「그곳에 밤 여기에 노래」와 「열대야에서 온 무지개」는 모국문화의 유지와 주류문화에의 적응이라는 통합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의 가능성을 떠올릴 수 있게 한 조건으로는, 가부장적 혈연주의의 약화, 매매혼이 아닌 사랑에 바탕한 결혼, 정부와 사회의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류는 문화변용 모델에 따른 것일 뿐, 개별 작품에 대한 문학적 가치의 위계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o far, research on marriage immigrant women in novels has been mainly dealing with how they become others or how they find their own unique identity. Now we need to consider how marriage immigrant women relate themselves with Korean society more generally from an objective viewpoint. This thesis attempts to classify the novels based on Berry’s acculturation model. Lee Sun-won’s 「Sorry, Mr. Ho」 written rather earlier well describes not only Joseon-jok (ethic Koreans living in China) women but also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marriage immigrants now even including Southeast Asian women.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appearing in Han Su-young’s 「Her Tree, Pinggwori」, Baek Ga-heum’s 「Puy, Thuy, Whatever」, or Jeong In’s 「Where She Lives」 or 「Time with Others」 suffer sever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s a result, they fail to maintain their own unique identity and become marginalized not being able to adap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either. As a result, they either die or kill somebody else or decide to leave Korea.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 novels deal with how painful those marriage immigrant women’s lives are; however, irrelevantly to the writers’ original intention, they might end up fixing those marriage immigrant women as objects of sympathy or compassion that are very different from us. In Seo Seong-ran’s 「Paprika」 and Lee Si-baek’s 「Dog Price」, marriage immigrant women become marginalized in Korean society, but instead of choosing tragic ending, they imply new possibility for life. Song Eun-il’s 『Ask about Love』 and Jeong Ji-a’s 「Blood Relationship」 are the works talking about assimilation to Korean society and its difficulty. The key point of Korea’s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s to have immigrant women ‘assimilate’ Korean culture as fast as possible. Therefore, it is such an important thing to do to examine the aspects of immigrant women with regard to assimilation in the overall context of Korean society. In those works, Koreans are eager to have marriage immigrant women assimilate Korean culture, and marriage immigrant women also want to be assimilated; however, they fail on account of patriarchal kinship (『Ask about Love』) and racial barriers (「Blood Relationship」). In Cheon Un-young’s 『Good Bye, Circus』, marriage immigrant women attempt to be segregated in order to keep their own unique culture. Joseon-jok Rim Hae-hwa tries to get married and get a job twice to be integrated into Korean society, but both fail. After the failure, she returns to the Joseon-jok community and segregates herself from Korean society. But her attempt to be segregated also fails after all. Kim Jae-young’s 「Flowery Palanquin Boat」, Kim Ae-ran’s 「Nights There, Songs Here」, and Han Ji-su’s 「Rainbow from Tropical Night」 are the works very close to the ideal of multicultural society, that is ‘integration’. Particularly in 「Nights There, Songs Here」 and 「Rainbow from Tropical Night」, there are Koreans learning foreign language and marriage immigrant women taking care of women in the situations similar to theirs, and the novels describe the aspects of integration, preservation of native culture and adaptation to mainstream culture, in detail. There are some conditions to realize that integration such as the weakening of patriarchal kinship, marriage based on love, not purchasing,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society’. Lastly, this author intends to mention additionally that this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acculturation model and does not reflect the hierarchy of cultural value about individual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