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세의 초과부담에 대한 선행연구가 주는 함축적 의미 (Implications of Advanced Research on Excess Burden of Tax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조세의 초과부담에 대한 선행연구가 주는 함축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세연구포럼
    · 수록지 정보 : 조세연구 / 12권 / 3호 / 39 ~ 66페이지
    · 저자명 : 허용석

    초록

    조세의 부과로 인한 초과부담이란 조세로 인해 자원의 합리적인 배분이 왜곡됨으로써 정부가 징수하는 세액에 추가하여 초래되는 사회적 비용을 말한다. 초과부담 연구방법론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초기 연구를 제외하고는 주로 일반균형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했고 외국에서는 부분균형모델과 일반균형모델을 비교적 고루 이용되었다.
    우리나라 조세제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한계초과부담은 세수 1원당 1.10원으로 비교적 높게 나와 미국의 세수 1달러당 0.4~0.6달러보다 커 보이나 속단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유의미한 결론에 이르기 위해서는 국내에서의 관련 연구가 더 축적될 필요가 있다.
    세목별 초과부담은 초과부담이 큰 것에서 작은 것 순(順)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개별소비세-자본소득세-근로소득세-일반소비세-수입세 순이었고, 외국에서는 법인․개인소득세-자본소득세-개별소비세-재산세-일반소비세-수입세 순이었다.
    큰 흐름에 있어 세목별 초과부담과 관련한 국내외 연구 간에는 차이가 없어 보인다. 자본․법인소득세 등 소득제세의 경우 대체로 한계초과부담이 높았고 소비・재산・수입제세의 경우 초과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효율성측면만 놓고 본다면 소득과세보다는 소비과세, 누진과세보다는 비례과세, 개별소비세보다는 일반소비세의 비중이 커질수록 최적조세에 근접한다고 볼 수 있다. 조세수입을 늘리는 경우에도 세율을 높이는 방안보다는 과세기반을 넓히는 방안이 효율성을 높인다. 나아가 중앙정부재정의 경우 통상 소득제세의 비중이 높고 지방정부재정의 경우 재산제세의 비중이 높은데 각각 소득과세의 비중을 줄이고 재산과세의 비중을 늘릴 때 조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조세제도를 운용함에 있어 고려되는 두 가지 가치에 형평과 효율이 있는데 현실에 있어 효율만 가지고 조세제도를 운용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이런 측면에서 한계를 갖는다. 아울러 초과부담의 크기를 계량화하는 과정에는 분석방법의 선택, 모델의 유형, 변수의 종류, 실증자료에 대한 접근가능여부, 대리지표, 연구대상이 된 세제가 어느 해의 것인지 등 변수가 많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인용된 계량화된 초과부담 그리고 이를 종합한 결과와 의미는 이해와 활용에 있어 충분히 신중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marginal excess burden in Korean taxation system resulted in 1.10. In the mean time, the marginal excess burden in the US taxation system resulted in the range of 0.4~0.5. Even though the marginal excess burden in Korea seemed to be higher than the excess burden in the US, it is difficult to make judg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 In order to reach at the more meaningful result on the estimation of excess burden in overall tax system,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or Korean tax system.
    The excess burden for different type of taxes in Korea as in descending order resulted as excise tax–capital gains tax–individual income tax–general consumption tax–import duties, as to the oversea research resulted in as corporate and individual income tax–capital gains tax–excise tax–property tax–general consumption tax–import duties.
    From both researches conducted for Korean and foreign tax system, it is observ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The excess burden on income tax was relatively high while the excess burden on consumption tax, property tax, etc. were low.
    Therefore, if more importance is weighted toward consumption tax rather than income tax, proportional taxation rather than progressive taxation and general consumption tax rather than excise tax, the optimal taxation might be reached from efficiency perspective. Should tax revenue be increased, it is preferred broadening tax base instead of increasing applicable tax rates in order to reach to the efficient taxation system. Going forward, since the importance of income tax is higher for central government while property tax has higher importance for local government, the efficiency in taxation system can be reached by putting less weight on income tax and putting more weights on property tax.
    The two aspects that must be considered in operating taxation system are fairness and efficiency, and the efficiency alone cannot operate the taxation system in realistic manner. From such perspective, this research contains limitation since it only focuses on the efficiency of taxation system. Additionally, quantification of the excess burden depends on variable factors such as methodology of the analysis, types of model used, accessibility to the evidential document, proxy index and etc., and, therefore, the quantified excess burden, the comprehensive result and the implication from this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with discre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