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寒洲 李震相의 性理思想에서 動靜論 一攷 (A Study on Dong-Jung Problems of Lee Jin-sang’s Neo-Confucian Philosoph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08.05
28P 미리보기
寒洲 李震相의 性理思想에서 動靜論 一攷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19호 / 143 ~ 170페이지
    · 저자명 : 이형성

    초록

    사상가의 철학체계에 대한 전체적 이해는 그의 철학의 범주나 개념들을 정확하게 분석했을 때 가능할 것이다. 본 논문은 동양철학의 범주라 할 수 있는 동정(動靜)을 고찰한 바, 그 중심은 조선말기 경북 성주에서 학술활동을 전개한 이진상(李震相)의 철학체계 가운데, 태극(太極)과 음양(陰陽), 그리고 리(理)와 기(氣)에서의 동정론(動靜論)을 주로 다루었다.
    논자는 이진상의 동정론을 고찰하기에 앞서 선진시대 경전 즉 『주역』과 『예기』에 보이는 동정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다음으로 송나라 때 주돈이(周敦頤)가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 태극과 음양 그리고 동정의 관계를 언급한 것에 대해 주희의 해설[「太極圖說解」]을 간략히 탐구하였다. 주희의 해설은 주돈이와 약간의 차이가 보이지만, 주희는 태극과 음양의 관계에서 태극에 동정이 있는지 없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간(離看)과 합간(合看)의 사유방법을 적용하여 「태극도설」을 탐구하였는 바, 이를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진상은 주돈이의「태극도설」과 주희의 「태극도설해」를 중심으로 전개하면서도 주희가 동정을 기로 여기거나 또는 말로 비유한 것에 비판의 자세를 취하고, 정자(程子)의 “동정은 음양의 근본이다”[動靜者 陰陽之本也]고 하는 것을 원용하여, 강력하게 동정을 음양이나 기보다 앞서 존재하는 것으로 여겼다. 그리하여 그는 참다운 동정이란 현상적으로 운동하는 음양[기]의 동정이 아니고 태극[리]의 동정으로 간주한다. 이는 리에 동정이 있다는 유위성(有爲性)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이진상이 리중시적(理重視的) 사상 속에서 태극[리]에 동정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리의 주재성을 주장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그 저변에는 리의 체인을 통해 인간 자신이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사상이 잠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Dongjung(動靜) is movements and restings to its letter. The meaning of it was various for intention that it was described in sentence. It was seen in 『Iching(易經)』 and 『Liji(禮記)』 of the thirteen sacred books. Dongjung of 『Iching』 is associated with Gu(乾: heaven), Gon(坤: earth) and all things. It says in the Gan(艮卦). When one’s movements and restings all take place at the proper time for them, his way of proceeding is brilliant and intelligent. It of 『Liji』 is associated with all things and music. Dongjung with music was artistic presentation after one danced to music. In the Song dynasty, Chu-tzu(朱熹) applied Dongjung whenever Taegeug(太極) associated with Eumyang(陰陽). This theory is establishing the organization of the universe and men.
    Lee Jin-sang(李震相) developed thought of Confusionism with Chu-tzu’s theory as the central figure. But he criticized that Chu-tzu regarded Dongjung as Gi(氣) and compared to horse. He claimed that junja say, "Dongjung is the root of Eumyang(動靜者 陰陽之本也)", and he strenuously insisted that Dongjung takes precedence over Eumyang and Gi. The true Dongjung that he said is not it of Eumyang on the phenomenal world but it of Taegeug on metaphysical philosophy. This theory was for establishing the superintendence of Li(理).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