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인도주의 활동과 적십자 (The Humanitarian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nd the Red Cros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2.06
28P 미리보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인도주의 활동과 적십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11호 / 273 ~ 300페이지
    · 저자명 : 박종연

    초록

    본 연구는 적십자회의 설립과 대한민국임시정부, 그리고 임시정부 내에서 적십자회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활동을 펼쳐나갔었는지, 또한 적십자 혹은 적십자적 성격을 지닌 중국 구제활동기관(홍십자회 및 구제총서 등)과의 관계와 해방 이후 한국구제총서의 역할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본 글로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제적십자사와 대한제국정부는 1898년 처음 접촉하였다. 스페인 적십자회가 활동 범위를 확장할 목적으로 대한제국 정부에 서한을 보내어 대한제국의 군대병원 시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 것이 그 계기였다. 하지만 1909년 7월 결국 대한적십자사는 합동이라는 미명하에 일본적십자사에 흡수되고 말았다. 창립당시부터 기울어진 국운으로 대한제국의 적십자사는 결국 4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밖에 존속치 못한 채 폐지된 것이다. 적십자사가 제네바협약에 가입한 독립된 주권국가 내에 설립되는 조직인 만큼 일제는 대한제국의 적십자 활동이 아무리 미약한 것이었다 할지라도 적십자사가 향후 일제의 조선병합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판단했을 것이다. 이후 기나긴 암흑기를 지난 1919년 7월 대한적십자회가 재건되었다.
    임정 초창기 적십자회는 임정의 구제활동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주로 임정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을 모집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자금확보는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첫째는 내부 자금 모집이었다. 주로 우리 동포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 및 중국 각지, 미주에 이르기까지 우리 동포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지원을 받았다. 두 번째는 외부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1932년 윤봉길 의거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중국인들의 여론이 급격히 좋아지고,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로 일본 제국주의라는 공동의 적을 맞이한 중국 정부(국민당)는 임정에 자금을 지원하였다. 초기 국민정부는 특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한해서 자금을 지원했으며, 당시 중국국민정부의 진제위원회와 중국부녀위로자위항전장사총회는 중국의 홍십자회, 구제총서 등 구제기관으로 임정의 적십자회 등을 통해 자금이 지원되었다.
    또한 임정의 적십자회는 1945년 구제총회(구제총서) 등을 통해 각국의 구제기관과 연계하여 해방 이후 한인들의 귀환과정에 깊숙이 관여하였다. 특히 중국 구제총서와 연계하여 “어려움에 처한 동북 한교를 신속히 구제하도록” 재촉하는 등 해방 이후 중국지역 한인들의 송환에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제반 활동 등은 다분히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4장에서도 설명하였듯이 각기 나름대로의 입장(중국 국공내전, 미국의 정책 우선순위 등)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임정의 구제총서를 비롯하여 각국의 구제기관 등의 활동은 중국지역 한인들의 귀환문제에 있어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International Red Cross made its first contact with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in 1898 when the Spanish Red Cross sent a letter to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and asked for information about the military hospital facilities of the Korean Empire with an aim to expand its scope of activities. Korean Red Cross was, however, absorbed into the Japanese Red Cross under the guise of coordination in July, 1907. The fate of Korea waned around the foundation of Red Cross in the Korean Empire, and it was abolished only four short years in existence. Since Red Cross was set up in an independent sovereign state that was a member of Geneva Conventions, the Japanese Empire estimated that the Korean Red Cross would pose an obstacle to its future annexation of Joseon however weak its activities might be. After a long dark period, the Korean Red Cross was reestablished in July, 1919.
    In the early day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the Korean Red Cros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s relief activities. One of its main roles was to raise funds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re were two major approaches to fundraising. One of them was to collect internal funds. The target was Korean compatriots. Supports were solicited every place where Korean compatriots were including China and the U.S.A. as well as Korea. The other one was to actively seek after externals supports. Following Yun Bong-gil's act against the Japanese Empire in 1932, the public opinions rapidly favor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mong the Chinese people. Once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in 1937, the Chinese government (Kuomintang) support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gainst their common enemy that was the Japanese imperialism. In its early days, the Kuomintang government offered financial supports to cases that they believed needed special supports. The National Relief Commission (zhenji weiyuanhui 振濟委員會) and National Chinese Women’s Association for War Relief Association (zhongguo funu weilao ziwei kangzhan jiangshi zonghui 中國婦女慰勞自衛抗戰將士總會) under the Kuomintang government those days were relief agencies such as the Red Cross Society of China and Relief and 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and they offered financial supports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via the Red Cross.
    Und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the Red Cross got deeply involved in the return process of Korean people after Korea took back its independence in connection with relief agencies of many nations through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in 1945. It made especially active moves for the repatriation of Korean people in China, urging for "fast relief for Koreans in need in northeastern parts of China" by linking with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This series of overall activities was possible based on individual positions(Chinese Civil War and America's policy priorities) explained in Chapter 4 as well as a much humanitarian perspective. It is, however, important that activities by the relief agencies of each nation including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had considerable impacts on the return issue of Koreans in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