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사론주(kośakāra) 세친(Vasubandhu)의 현상주의적 언어철학 (Vasubandhu, the Kośakāra’s Phenomenalistic Philosophy of Language)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3.07
53P 미리보기
구사론주(kośakāra) 세친(Vasubandhu)의 현상주의적 언어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14호 / 25 ~ 77페이지
    · 저자명 : 박창환

    초록

    세친은 경량부의 현상주의적 존재론에 기초하여 언어와 이를 통한 의미의 전달은 모두 현상과 현상의 인과적 연쇄를 통해 발생하는 조건부 사건일 뿐이라고 본다. 현상의 인과적 고리를 벗어나는 추상적인 실체나 존재를 상정할 필요는 없다. 경량부 세친은 오직 <개별>(viśeṣa)적 현상만(dharmamātra)을 인정하며 <보편>(sāmānya, 즉 실체)을 전제하는 명칭(nāma)의 용법은 가설적으로만 받아들인다. 현상간의 특수한 인과 연쇄만(hetuphalamātra)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려는 세친의 이러한 현상주의적 태도는 그의 언어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세친의 현상 중심의 언어관은 불설이나 <명․구․문>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논쟁에 있어 실체론적 성향을 띠는 유부의 입장과 충돌하게 된다.
    유부는 음소, 이름, 문장(명․구․문)은 의미를 전달하는 특수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단순한 소리(śabda)와 구분되어야 한다고 보고 심불상응행법에 배속시킨다. 즉, <명․구․문>은 물질 현상(rūpa)인 소리(śabda)가 우리의 의식 속에서 개념(saṃjñā=의미)이라는 심리현상(caitta)으로 질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메커니즘으로 이해된다. 반면 경량부는 <명․구․문>의 특별한 존재론적 위상을 인정하지 않으며 <명․구․문>도 본질적으로는 소리(śabda)라는 물리현상일 뿐이라고 본다. 경량부의 관점에서 <명․구․문>은 소리라는 현상이 서로 결합하고 전개되는 과정에서 보이는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소리라는 물리현상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명․구․문>의 차이도 결국 개별적 현상의 차별상(avasthāviśeṣa)을 설명하는 경량부의 상속전변차별(saṃtatipariṇāmaviśeṣa)의 메커니즘으로 해명이 가능해 진다. 세친의 언어철학은 이러한 개별/특수(viśeṣa差別)를 중시하는 경량부의 현상주의적 태도가 반영된 것이다.

    영어초록

    In Vasubandhu’s view, the ultimately reals are phenomenal property-particulars or the atomic constituents of phenomena or sensibilia. Bimal K. Matilal calls such a position of Vasubandhu ‘Buddhist phenomenalism’. Phenomenalism is the view that physical objects are reducible to or definable in terms of the occurrence and obtainability of such sensory experiences. What matters in this phenomenalistic position is the bare percept that we perceive; there is no need to posit any entity behind it. Everything is to be accountable within these phenomenalistic boundaries. This is a strong Buddhist antithesis to the realistic position of the Brahmanical schools of Indian philosophy.
    Upon such ontological premise, it follows that Vasubandhu’s view of language is naturally nominalistic in that any name given to such complex object constituted of the atomic components only names a concept and not an item in the real worl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plore how Vasubandhu’s phenominalist ontology exerts influences over his nominalistic view of language. To this end, I try to analyze Vasubandhu’s theory of two truths as well as his view of syllables (vyañjana), names (nāma), and sentences (pada). Thereafter it is concluded that Vasubandhu’s way of accounting how words convey meaning (artha) is based upon his thorough-going phenomenalistic stance on language-phenome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