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學』의 道에 관한 硏究-朱熹의 觀點에서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04.03
25P 미리보기
『大學』의 道에 관한 硏究-朱熹의 觀點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37권 / 303 ~ 327페이지
    · 저자명 : 심우섭

    초록

    大學의 내용은 三綱領과 八條目으로서 요약할 수 있다. 三綱領은 明明德, 新民, 止於至善이고 八條目은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이다.三綱領은 大學의 目標로서 바람직한 人間의 價値觀을 나타낸 것이고 八條目은 三綱領을 具顯하는 方法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八條目은 大學의 범위라 볼 수 있다. 格物로부터 시작하여 致知·誠意·正心을 거쳐 修身을 바탕으로 하여 齊家·治國·平天下로 발전하는 것이다. 즉 修身인 修己와 齊家, 治國, 平天下인 治人으로서 요약 할 수 있다.먼저 本體論에 대해서 (1) 修己로서의 明明德은 『大學』의 經1章에서는 明明德·新民·止於至善의 三綱領을 提示하고 있다. 朱子는 八條目 중에서 修己의 德目을 明德과 결부시켜 明明德의 실질적인 절차를 구체화하고 있다. 格物致知는 明德을 구현하는 認識의 問題로 제시 되었고 誠意·正心·修身은 明德을 확실하게 실행하려는 行的인 면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明明德은 知·行의 두 면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2) 治人으로서의 新民은 自己 本體로서의 明德을 밝혀서 大衆에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다. 그리하여 大衆의 明德도 밝힘으로써 兼善天下하는 데로 나아감을 말하는 것이다. 新民은 백성들로 하여금 인간된 본성 즉 바람직한 인간 가치관을 정립하도록 깨우쳐 주는 일로써 德治主義의 일면을 바로 新民에서 찾아 볼 수 있다. (3) 明德과 新民의 관계로서는 主體가 되는 明德과 對象이 되는 新民의 關係를 調和시키고 있는 것이 바로 止於至善이다. 즉 虛靈不昧한 明德의 價値觀이 定立된 위정자가 德治主義의 具顯으로 對象인 백성을 敎化하여 自己와 똑같은 明德의 價値觀을 가지게 하여 止於至善의 境地에 이르게 할 때, 이같은 人物을 內聖外王으로 바람직한 價値觀이 定立된 위정자라 한다.다음으로 實踐論에 대해서 (1) 明德의 具顯으로서 三綱領 八條目에 대한 설명은 『大學』 내용의 개괄된 체계 설명이자 德治主義 理念을 具顯하기 위한 방법론의 개요이다. 明德을 천하에 밝힌다는 것은 모든 인간으로 하여금 人間된 본성 즉 性卽理의 價値觀을 바탕으로 한 人間性 回復이란 문제를 全人類에까지 확대 실현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2) 齊家의 擴充에 있어서는 家庭의 孝·弟·慈는 가정의 德目이요 德行이다. 이것은 국가 사회에 있어서 인간관계를 올바르게 실현 할 수 있게 하는 도덕인 것이다. 따라서 齊家가 治國에도 직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德治主義의 實現으로는 明德으로서의 忠과 新民으로서의 恕가 二元的一元化되어 질 때 사회질서가 확립되어 德治 主義가 具顯될 수 있음을 밝혔다.마지막으로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면 오늘날 現代社會는 科學文明의 발달로 人類에게 機械와 物質은 얻었으나 人間性 경시 사상으로 人間 價値觀을 喪失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物質 및 實利至上主義가 人間性 回復보다 위에 있게 되었다. 物質主義를 신봉하는 이들은 古來로부터 전해 온 民本·德治主義思想은 낡은 잔재로 생각할 뿐만 아니라 도덕적 가치관까지도 부정하고 있다. 『大學』에 '德은 本이요, 財는 末이니 根本을 밖으로 하고 末을 안으로 하면 백성을 다투게 하여 겁탈하는 가르침을 베푸는 것이다.' 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社會現象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財를 本으로 삼고 德을 도외시하는 현실 속에서 政治的으로는 社會統合과 和平을 상실한 채 왜곡된 民主化를 외치는 社會, 經濟的으로는 黃金만능만이 판을 치고 있는 社會, 敎育的으로는 바람직한 全人敎育을 저버리고 知識敎育에만 치닫고 있는 社會, 이같이 소용돌이치고 있는 社會의 질서를 확립하고 바람직한 人間 價値觀을 定立하기 위해서는 『大學』의 道의 價値問題를 理解하는데서 구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