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논의가 교육학에 주는 함의 (The Implications of Poststructural Feminism for Pedagog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4.12
23P 미리보기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논의가 교육학에 주는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29권 / 3호 / 125 ~ 147페이지
    · 저자명 : 홍은영

    초록

    본 연구는 교육학 논의에서 성적 차이와 성적 불평등에 관한 이론적, 체계적인 분석과 비판이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교육학을 성의 범주와 연결 짓고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논증들이 지니는 교육학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교육학을 성(性) 질서에 대한 비판과 관련지어 탐구하는 일은, 교육 이론화에 대한 근본적인 제약과 성의 문화적 구성형태들이 교육학의 자기이해에 내재되어 있는 측면을 성찰해보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것은 고리타분하게 과거의 차별에 대해 이야기하는 당위적 수준을 넘어, 다양한 젠더화의 사회적 실천과 성차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 먼저 페미니즘 주요 개념으로서 성 개념의 구조적이고 범주적인 성격을 논의한 다음, 버틀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성적 동일시 실천과 성차의 문제를 좀 더 자세히 탐구한다. 이때 성은 어떤 영속적인 본질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생성되고 담론적으로 성립되는 사회질서 및 젠더 규범의 구성물이자 효과로 파악된다. 범주로서의 성 이해는 성 질서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여성을 하나의 일관된 정치 주체 집단으로 범주화하려는 페미니즘 논의의 설정 자체에 자극을 주었다. 이때 유의할 것은 가부장적 문화의 비판에서 다시금 남녀의 특질을 고정하는 본질주의 결정론과 이성애적 틀에 함몰되는 것에 대해 비판적 거리를 두는 것이다. 성차의 사회적, 정치적, 역사적 차원은 안정된 젠더 정체성이란 존재하지 않고, 오히려 정체성을 사회제도와 언어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하여 정체성의 다양한 의미의 개방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강조될 점은 권력과 담론을 넘어서 있는 독립적 주체는 거부되고, 주체는 불안정하고 모순적인 것으로 파악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4장에서는 교육학에 주는 함의로 여성(성)을 남성(성)과 대립되는 존재로 설정하고 본질화하는 경향에 대한 검토, 평등과 보편성에 대한 교육철학적 요청이 지닌 복잡성, 일반교육학에 내포된 동일성 논리의 해체와 주체성의 비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re are insufficient theoretical and systematic analyses and criticisms of gender differences and inequality in educational research. With this awareness, this study aims to connect pedagogy with gender and deri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ost-structuralist feminist arguments. Exploring pedagogy regarding gender order is an effort to reflect on the fundamental constraints in educational theorizing and the way cultural constructs of gender are embedded within pedagogy’s self-understanding. This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various social practices of gendering and gender differences beyond a merely normative and old-fashioned discussion of past discrimination. , this study first discusses the structural and categorical nature of gender as a central concept of feminism and then closely examines , focusing on Butler’s theories. Here, gender is viewed not as a permanent essence but as a construct and an effect of social order and gender norms historically produced and discursively established. Understanding gender as a category enables an analytical approach to gender order and challenges the feminist discussion that seeks to categorize women as coherent political subjects. Here, it is crucial to maintain a critical distance from essentialist determinism and heteronormative frameworks that reinforce fixed traits of men and women in critiques of patriarchal culture. The social, political, and historical dimensions of gender difference suggest that stable gender identities do not exist; rather, identities regarding social institutions and language highlight the openness of identities in various meanings. One point to emphasize is that an independent subject existing beyond power and discourse is rejected, and the subject is identified as unstable and contradictory. Based on these discussions, Chapter 4 provides implications for pedagogy as follows: a review of the tendency to define and essentialize women (femininity) as opposed to men (masculinity), the complexity inherent in the educational philosophical demand for equality and universality, and the logic of identity inherent in general pedagogy and a critique of subjec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