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통융합 환경에서의 주파수 정책 이슈의 국가간 비교 연구: 미국과 한국의 주파수 관련 뉴스보도의 의미 연결망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ectrum Policy Issues in Convergence Environment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News Coverage in the U.S. and S. Korea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0.12
33P 미리보기
방통융합 환경에서의 주파수 정책 이슈의 국가간 비교 연구: 미국과 한국의 주파수 관련 뉴스보도의 의미 연결망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정보통신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정보통신정책연구 / 17권 / 4호 / 107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유정, 최준호, 이성준

    초록

    관련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무선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주파수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관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른 효과적인 주파수 관리정책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주파수 관리 정책에 대한 의미 연결망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양국의 주파수 자원의 공공성에 대한 해석과 시장 환경의 차이에서 비롯된 관리 정책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효율성과 유연성의 관점에서 다양한 주파수 관리방식을 검토한 후, 정책 이슈 네트워크를 이론적 틀로 이용하면서 의미 연결망 분석 방법을 통해 국가별 특수성을 파악하였다. 미국과 한국의 대표적인 IT 뉴스 사이트로부터 2006년과 2009년 사이의 주파수 관련 뉴스 기사를 선정하였고 이로부터 128개의 상위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상위 키워드를 기반으로 매트릭스를 구성하였고, 이를 아이젠벡터 중앙성, 군집 분석, 다차원 척도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에서는 시장 사업자 관련 키워드의 중앙성이 높았으나, 국내에서는 규제기관 관련 키워드와 ‘경매’와 같은 시장진입 관련 키워드의 중앙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명령과 통제형에서 시장기반 모델로의 전환이 가시화되고 있는 국내 주파수 관리방식의 현 주소를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advancement of radio technology and diverse services has increased dependence on wireless communications all over the world. The demand for spectrum resources is therefore also skyrocketing, which brings about concerns regarding problems of spectrum scarcity in the near future. Accordingly, there has been much argument regarding which policy model of spectrum management (i.e., command and control model, market-based model, common and sharing approach, or open approach) is the most appropriate for improving spectrum efficiency and flexible usage in the current wireless market.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conducts a comparative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spectrum policy in S. Korea and the U.S. There has been considerable discussion about the efficient policy models of spectrum management in both countries, considering the changing telecommunications environment. However, each country’s spectrum management policy has not been well explain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With a theoretical framework of policy issue network and a methodological approach of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ich policy model of spectrum management has been employed in S. Korea and the U.S. Moreover, this research analyzes and compares the current spectrum management policy in S. Korea to that in the U.S.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wo steps. First, a total of 128 core keywords regarding the spectrum policy were extracted from the representative IT news sites in S. Korea and the U.S for the period 2006-2009, and co-occurrence matrices of the keywords in each country were tabulated. Second, network- related measures including eigenvector centrality, hierarchical clustering,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network analyses showed that regulatory agency (e.g., Korean Communications Commission) emerged as a central keyword in S. Korea’s policy issue network, while the market players (e.g., carrier, Verizon, Sprint Nextel) were more commonly used in the U.S. In addition, broadcasters and related keywords (e.g., cable TV, broadcasting) were relatively more central in S. Korea than in the U.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keyword ‘auction’ was relatively central compared to the other keywords in S. Korea.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olicy on spectrum management in S. Korea is still based on the “command and control” model with a hint of a “market-based” mod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