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纂註分類杜詩』 補註에 인용된 문학서와 그 의미 -『文章正宗』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Works Quoted in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of Zuanzhufenleidushi (纂註分類杜詩) and Their Significance: Focusing on the Case of Wenzhangzhengzong (文章正宗))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4.10
31P 미리보기
『纂註分類杜詩』 補註에 인용된 문학서와 그 의미 -『文章正宗』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65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류화정

    초록

    『纂註分類杜詩』는 조선에서 詩學을 진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된 杜詩 주석 모음집 [集註]이다. 두시에 관한 여러 주석을 모으는 데 그치지 않고, ‘補註’라는 형식을 두어서 조선의 편찬자들이 주석을 보완하기도 했다. 이 책의 제작 과정과 주요 底本 등은 선행 연구에 잘 나타나 있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것은 『찬주분류두시』에 편찬자들이 별도로 추가한 보주이다. 일반적으로 보주는 주석의 미진한 부분을 보충하거나, 기존 견해에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그런데 『찬주분류두시』의 보주에는 여전히 다른 책이나 두시 주석가의 견해를 인용 하는 방식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조선만의 독자적인 견해가 드러나지 않아서 지금까지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필자는 『찬주분류두시』 보주에 두시 주석서를 비롯하여 각종 筆記ㆍ詩話類 등이 인용되었다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보주에 활용된 宋ㆍ元代 문학서를 정리하고 정확한 출처를 검토했다. 그 과정에서 고려 중기부터 조선으로 이어진 문학서의 행방과 조선 전기에 유통되었던 詩文選集의 활용 양상을 살필 수 있는 근거 자료로서 보주의 구성과 내용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보주에 인용된 趙次公 주석[趙曰]의 출처와 『文章正宗』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것도 조선 전기 문학서와 문학비평과의 관련성을 재고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본고에서는 세종 연간에 간행되었던 문학서 중에 杜詩가 실린 시문선집을 살펴보고, 보주에 인용된 조차공의 주석이 『문장정종』에서 인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조차공의 주석은 두보의 忠義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문장정종』에는 그것이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원문이 수정되어 있었다. 그런 점에서 『찬주분류두시』의 편찬자들이 보주에서 『문장 정종』의 주석을 원용한 것은, 문학의 도덕적 효용성이라는 그들의 방향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선별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방식은 그들의 독창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보다 오히려 더 객관적이고 설득력이 있는 전략이 될 수도 있다. 이 논의를 좀 더 발전시키려면 보주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실증적인 자료들은 조선 전기 문학비평을 설명하는 데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Zuanzhufenleidushi (纂註分類杜詩: Classified Annotations on Du Fu's Poetry) is a compilation of commentaries on the poetry of Du Fu (杜甫), compil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promote the study of poetry (詩學). This work does more than merely collect various commentaries on Du Fu's poems; it also includes supplementary annotations (補註) that were added by Korean editors to enhance the existing commentaries. The production process and primary source materials (底本) of this compilation have been well-documented in previous research.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that were independently added by the editors of Zuanzhufenleidushi.
    This study organized and examined the sources of literary works from the Song (宋) and Yuan (元) dynasties used in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of Zuanzhufenleidushi. Through this process, increased interest developed in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as crucial evidence for tracing the transmission of literary works from the mid-Goryeo period to the Joseon period, as well as for understanding the usage patterns of Shiwenxuanji (詩文選集: Poetic anthologies) that circulated in early Joseon. The effort to identify the sources of Zhao Cigong’s (趙次公) commentary (趙曰) cited in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is also part of a broader endeavor to re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Joseon literary texts and literary criticism.
    This study examines poetic anthologies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at include the works of Du Fu and confirms that the commentary by Zhao Cigong cited in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was drawn from Zhen Dexiu's (眞德秀) Wenzhangzhengzong (文章正宗: The Orthodox Texts of Literary Works). Zhao Cigong's commentary tends to interpret Du Fu's works with a focus on loyalty and righteousness (忠義), and in Wenzhangzhengzong, this interpretation was made even more explicit by modifying the original text. In this regard, the decision by the compilers of Zuanzhufenleidushi to adopt the annotations from Wenzhangzhengzong in their supplementary notes can be seen as a deliberate choice to effectively emphasize their orientation towards the moral utility of literature. This approach could potentially be a more objective and persuasive strategy than simply presenting their own original voice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will be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is discu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