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대(周代) 토지봉건(土地封建)의 실상(實狀)과 공자(孔子)의 방국(邦國) 이해 (The Reality of feudalism in Zhou (周) Period and Confucius’ Understanding of Bang-guo (邦國: city stat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0.09
25P 미리보기
주대(周代) 토지봉건(土地封建)의 실상(實狀)과 공자(孔子)의 방국(邦國)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81호 / 159 ~ 183페이지
    · 저자명 : 임태승

    초록

    토지와 봉건제가 맞물려 주대(周代)에 확고하게 정착된 영역의 실체 혹은 관념이 바로 방국(邦國)이다. 『논어』에 나타난 방국(邦國)의 성격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논어』에서의 방국(邦國)의 용례는 방(邦)이 48차이며 국(國)이 10차이다. 방(邦)이 국(國)보다 5배가량 많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공자의 인식에선 대개 ‘나라’를 지칭하는데 방(邦)이 훨씬 보편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방(邦)⦁국(國)은 구제적인 지목이 없는 일반적인 ‘나라’를 의미한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용례에서는, 방(邦)⦁국(國)이 분명하게 노(魯)나라를 지칭한다. 제후국 안의 사람들은 제후 혹은 대부에게만 연루되었을 뿐, 그들에게 천하라는 관념이나 주(周)라는 실체는 의식되지도 않았고 안중에도 없었다. 그런데 제후국으로서의 노(魯)나라의 신하인 공자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공자가 『논어』의 전편(全篇)에 걸쳐 주(周)의 전장(典章)질서를 따지고 노(魯)나라와 주실(周室)을 같은 맥락으로 연계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할 때, 공자 관념 속의 방국(邦國)은 일반적인 ‘자기 나라’가 아니라 철저하게 천하[周] 체제와 주례(周禮) 아래의 제후국이었다. 이미 세상은 주실(周室)의 천하가 아니었지만, 공자의 염두 속 노(魯)나라는 주실(周室)과 이미 멀리 이격된 자기 나라가 아니라 여전히 저 먼 서주(西周) 시기의 토지봉건과 엮여있는 혹은 엮여져야만 하는 제후국이었던 것이다. 이것이 공자의 방국관(邦國觀)이다.

    영어초록

    Bang-guo (邦國: city state) is the substance or concept of areas firmly established in Zhou (周) dynasty by the combination of land and feudalism. The characteristics of Bang-guo state shown in Analects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re are 48 Bang (邦) and 10 Guo (國) in Analects. Bang comes out five times more than Guo. Confucius thought Bang more universal in the meaning of 'state'. Second, most Bang and Guo mean the common 'state'. Third, nevertheless, in some examples, Bang and Guo clearly refer to Lu (魯). The people in the state of feudal lord were only involved in feudal lords or doyen, and neither were they aware of the concept of the world nor Zhou dynasty. But Confucius, a servant of Lu as a state of feudal lord, showed a different aspect. Recalling that Confucius refers to Zhou's system throughout several places of the Analects and links Lu and Zhou in the same context, Bang-guo in Confucius' conception was not a common 'self-country' but a state of feudal lord under Zhou's institution and system. The reality was not already Zhou's world, but Lu in Confucius' mind was not his own country far from Zhou, but a state of feudal lord, which was still or should be intertwined with that far-off feudalism of the Western Zhou (西周) period. This is Confucius' view of Bang-gu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