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시대에서의 모욕죄 처벌규정의 위헌성 검토*- 헌법재판소 판례에 나타난 광범위성 원칙 적용을 중심으로 - (Review of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insult punishment provisions in the digital age-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overbreadth doctrine as shown in the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s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5.02
36P 미리보기
디지털 시대에서의 모욕죄 처벌규정의 위헌성 검토*- 헌법재판소 판례에 나타난 광범위성 원칙 적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66권 / 1호 / 25 ~ 60페이지
    · 저자명 : 조소영

    초록

    2000년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변화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한 것이었고, 인터넷 공간의 익면성 및 비대면성은 의견표현의 장(場)에 다양한 사람들의 폭발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한 긍정적인 효과도 가져왔지만 동시에 무책임한 태도로 허위이거나 과장되거나 공격적인 표현이 난무하게 되는 부정적인 결과도 가져왔다. 인터넷상에서의 도넘은 표현행위들에 대한 법적 규제의 필요성은 커졌지만, 인터넷 공간에서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에 대한 규제 여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견해와 부정적인 견해가 병존한다. 어려운 쟁점적 사항 중 하나가 사이버상의 모욕행위에 대한 처벌 여부의 논쟁인데, 인터넷 공간에서의 모욕행위도 형법상 모욕죄규정으로 처벌해 왔기 때문에 그간의 모욕죄의 위헌성 여부에 대한 논쟁이 그대로다. 이 글에서는 헌법재판소에 형법 제311조에 대한 위헌소원이 제기된 10여차례의 사건 중 대표적인 3번의 결정에서의 위헌성 검토내용을 분석해 보고, 위헌성 심사기준으로 독자적인 헌법적 의미를 갖는 ‘광범위성 원칙’에 관한 판시내용을 중심으로 헌법이론적 고찰을 전개해 보았다.
    하지만 굳이 표현의 자유의 민주적 기능이나 역할을 강변하지 않더라도, 다른 규제수단이 현행법체계 내에도 존재할 뿐만 아니라 사적인 소송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더 촘촘히 제도화하는 방안에서 더 나아가 국가권력에 의한 제재적 결과를 계속 유지하는 것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 말하는 자가 자신의 말에 대한 판단을 가늠할 수 없는 처벌은 말 그대로 죄형법정주의상의 명확성의 원칙이건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률에 대해 요구되는 명확성의 원칙이건 간에 분명한 위헌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글은 현행 형법상의 모욕죄 규정에 대한 단순위헌결정이 해당 처벌규정에 의해 보호되어야 할 사람까지 놓아버리는 결과가 될 수도 있는 위험성이 있다면, 모욕죄 처벌규정의 적용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헌법합치적인 해석을 통해 규범조화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논증하고 싶었던 연구였다. 명확성의 원칙의 위배 여부를 판단하면서 보호성과 광범위성은 혼선을 빚을 수 있는 원칙이지만, 그런 경우도 좀더 정확하게 살펴보면 두 원칙이 같이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이지 구분이 어려운 경우는 아니다. 특히 모욕죄 처벌규정의 경우처럼 형사법적인 처벌규정이 문제되는 경우라면, 죄형법정주의와 규제된 기본권 영역에 따라 요구되는 명확성의 정도가 강화되는 경우가 될 것이고, 그렇다면 모호성과 광범위성의 구분은 더 엄격하게 지켜져야만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biggest change in our society in the 2000s was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and the familiarity and non-face-to-face nature of the Internet space had the positive effect of allowing a variety of people to participate explosively in the space for expressing opinions,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brought about the negative result of causing irresponsible, false, exaggerated, and aggressive expressions to run rampant. The need for legal regulation of excessive expressions on the Internet has increased, but there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whether to regulate free expression of opinions on the Internet. One of the difficult issues is the debate on whether to punish cyber insults, and since insults on the Internet have been punished under the insult crime provisions of the criminal law, the debate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previous insult crime remains the same.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contents of the review of unconstitutionality in three representative decisions among the ten or so cases in which constitutional petitions against Article 311 of the Criminal Act were filed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develop a constitutional theoretical examination focusing on the decisions regarding the “overbreadth doctrine” which has its own constitutional meaning as a standard for reviewing unconstitutionality.
    However, even if we do not insist on the democratic function or role of freedom of expression,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in maintaining the sanctions by state power, going beyond the fact that other regulatory means exist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hat measures that can be resolved through private lawsuits are more closely institutionalized. This is because punishment that makes it impossible for a speaker to judge his or her own words is clearly unconstitutional, whether it is the principle of clarity under the principle of legality or the principle of clarity required for laws restricting freedom of expression. However, this article was a study that wanted to argue that if there is a risk that a simple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on the current insult crime provision under the criminal law could result in letting go of people who should be protected by the relevant punishment provision, it should be possible to derive a normative result through a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hat limit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insult crime punishment provision. Although protection and broadness are principles that can cause confusion when judging whether the principle of clarity is violated, if we look more closely at such cases, it is not a case where the two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together, but a case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In particular, in cases where criminal law punishment provisions are problematic, such as the punishment provisions for insult crimes, the degree of clarity requir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legality and the regulated area of ​​fundamental rights will be strengthened, and in that case, the distinction between ambiguity and broadness will have to be more strictly obser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