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임죄에서 재산상 이익과 손해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1. 11. 25. 선고 2016도 3452 판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Interest and Property Damage in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Supreme Court Decision 2016do3452, decided on November 25, 2021-)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4.03
32P 미리보기
배임죄에서 재산상 이익과 손해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1. 11. 25. 선고 2016도 3452 판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8권 / 1호 / 107 ~ 138페이지
    · 저자명 : 구길모

    초록

    대법원은 최근 배임죄를 제한적으로 해석하여 적용범위를 축소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논거는 주로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즉, 배임죄의 주체요건을 제한적으로 해석하여 배임죄의 성립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재산상 이익과 손해의 관련성’이라는요건을 요구하며 배임죄에 대한 제한 해석을 제시하는 판결이 선고되었다.
    대상판례에서 새마을금고의 전무로서 업무전반을 관리하고, 여유자금 운용업무를 담당하는 자가 여유자금 운용과 관련한 규정을 위반하여 원금손실의위험이 있는 이 사건 각 투자상품을 매입하였음에도 대법원은 배임죄를 부정하였다. 그 논거로 임무위배행위로 인하여 여러 재산상 이익과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재산상 이익과 손해 사이에 서로 대응하는 관계에 있는 등 일정한 관련성이 인정되어야 업무상배임죄가 성립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대법원의 입장은 가벌성의 확장이 문제되는 배임죄에 대한 새로운 제한 해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그러나 지금까지 재산상 이익 또는재산상 이익과 손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대상판례에 대한 평가를 정리하여 보면, 우선 재산상 이익과 손해 사이에관련성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입장을 밝히고 이에 따라 무죄를 선고하려 했다면 전원합의체로 심리ㆍ판결했어야 했다고 생각되고, 다음으로 ‘대응관계가 있는 등 일정한 관련성’이라는 용어가 매우 추상적이고 모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관련성 개념으로 배임죄를 제한하여 해석할 경우처벌의 공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재산상이익과 손해 사이에는 인과관계를 요한다고 해석하되, 배임죄를 침해범으로제한하여 해석하는 것이 더욱 적절한 해석방법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Supreme Court has recently shown a tendency to interpret breach of trust in a restrictive manner. The argument was mainly that it did not apply to ‘a person who handles other people’s affairs’. In other words, the scope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s limited by restrictively interpreting the subject requirements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However, a recent ruling was issued suggesting a limited interpretation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requiring the requirement of a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interests and damages.
    In the target ruling, the Supreme Court denied the charge of breach of trust even though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of surplus funds as the executive director of Saemaeul Geumgo violated the regulations related to management of surplus funds and purchased each investment product in this case with a risk of principal loss. As an argument, it was pointed out that even if various property profits and losses occur due to an act of violation of duty, the crime of professional breach of trust is established only when a certain relationship, such a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y profits and losses, is recognized.
    There is a great need for research in that this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suggests a new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where the expansion of criminality is problematic. Nevertheless, until now, research on property interes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gains and losses is very lacking.
    To summarize the evaluation of this precedent, first of all, if the new posi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interests and damages should be recognized and the intention was to declare not guilty accordingly, it should have been heard and judged by unanimous consent. Nex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rm ‘certain relevance’ is very abstract and ambiguous, and lastly, i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s interpreted to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relevance, it is thought that the problem of a gap in punishment may be raise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interpret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by limiting it to infringement cr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