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생상품 거래의 배임죄 성부에 관한 쟁점 검토 - 대상판결: 대법원 2008.5. 29. 선고, 2005도4640 판결 - (Review Issu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Breach of Trust in Derivatives Tradi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0.03
32P 미리보기
파생상품 거래의 배임죄 성부에 관한 쟁점 검토 - 대상판결: 대법원 2008.5. 29. 선고, 2005도4640 판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3권 / 1호 / 577 ~ 608페이지
    · 저자명 : 김지웅

    초록

    최근 Total Return Swap(이하 ‘TRS’) 등 파생상품 거래로 인하여 소비자 피해 등 많은 사회적 문제가 야기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그 거래와 연관된 금융회사 및 임직원에 대한 형사적 책임도 문제가 되고 있다. 대상판결은 선고된 지 여러 해가 지났지만, TRS, 옵션계약 등 다양한 유형의 파생상품 거래에 관하여, 경영판단, 기수시기, 이득액 산정 등 배임죄와 관련한 여러 논점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검토할 가치가 있다.
    먼저, 대상판결 사안에서 피고인들(기업집단에 속한 계열사의 대표이사 및 임원)은 계열사 해외 법인들로 하여금 영업과 상관없이 이 사건 옵션계약 및 화해계약을 체결한 것은 경영판단에 따른 것으로 배임죄의 고의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대상판결은 “계열그룹 전체의 회생을 위한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행위로서 그 행위의 결과가 일부 본인을 위한 측면이 있다 하더라도 본인의 이익을 위한다는 의사는 부수적일 뿐이고, 이득 또는 가해의 의사가 주된 것임이 판명되면 배임죄의 고의를 부정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최근 대법원은 동일한 기업집단에 속한 계열회사 사이의 지원행위가 경영판단의 범위 내에서 행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 바 있는데(대법원 2017.11.9 선고 2015도12633 판결), 이러한 기준에 의하더라도 대상판결 사안에 대해서는 배임죄를 부정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한편, 배임죄를 침해범으로 보느냐(침해범설), 아니면 위험범으로 보느냐(위험범설)에 관한 학설상 대립이 있고, 이에 따라 기수시기에 대한 결론이 달라질 수 있다. 판례는 배임죄를 위험범으로 보면서, ‘재산상 실해 발생의 위험’이 있어야 기수에 이른다고 판시하고 있다. 나아가, 판례는 그 실해 발생의 위험은 “경제적 관점에서 재산상 손해가 발생한 것과 사실상 같다고 평가될 정도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을 만큼 구체적․현실적인 위험이 야기된 경우”를 의미한다고 보고 있는데, 이러한 입장은 배임죄를 침해범에 가까운 구체적 위험범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나아가, 판례는 배임죄의 이득액 산정과 관련하여 실제 취득한 재물 또는 재산상 이익의 실질적인 가액을 기준으로 이득액을 파악하는 해석론(소위 ‘실질가치설’)을 발전시켜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상판결은 소위 ‘실질가치설’에 입각하여, 이득액을 이 사건 옵션계약의 이행으로 실질적, 현실적으로 발생한 액수로 한정하여 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대상판결은 소위 ‘실질가치설’을 옵션계약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접목시키고, 위험액 전체가 아닌 실제 손해발생액을 대상으로 하여 이득액을 산정했다는 점에서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recent transactions of derivatives such as the total return swap (TRS) have prompted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including consumer damages, and the criminal liability of financial companies and employees involved in such transactions has also become controversial. Although man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verdicts were first delivered, it is still worth reviewing the case as it covers a number of issues pertaining to a breach of trust, including business judgments, the time in which the requisite elements were fulfilled, and the calculation of gain, for various types of derivatives encompassing TRS and the option contracts.
    First of all, the defendants (executive members of the business group) argued that they lacked the intention to establish a breach of trust as the conclusion of the option contracts and the settlement agreements in this case were subject to business judgment. However, the ruling stated,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the result of the act, which was performed to rehabilitate the entire affiliated group, was partly to serve the interests of their own, such an intention was only incidental, and once the gain or harm is found to be the primary intention, then the intention for the breach of trust cannot be denied."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set a standard to determine whether inter-affiliate subsidization in the same business group was conducted within the discretionary scope of the reasonable business judgment (Supreme Court Decision 2015Do12633 Decided November 9, 2017), but I believe that it remains difficult to deny the intent for a breach of trust based on this standard.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onflicting academic view regarding whether the breach of trust should be deemed to be a depriving offense (depriving offense theory) or an endangering offense (endangering offense theory), and the conclusion on the time in which the elements were fulfilled may differ accordingly. The precedent regards the breach of trust as an endangering offense and states that there must be a "risk of actual property damage" to satisfy the elements. Furthermore, the case views that the risk of actual harm means "when a concrete and realistic risk has arisen enough to be considered as virtually the same as property damage that has arisen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which is considered to be regarded as a breach of trust in line with a concrete endangering offense that is relatively close to the depriving offense.
    In addition, the case appears to be developing an analytical theory (theory of real value) that identifies the gain with the actual value of properties or property interests acquired in relation to the calculation of the gain in the breach of trust. In particular, this case calcul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tion strike price and the actual stock price" as the amount of gain with reference to the time in which the loss arose from the actual exercise of the option, rather than the time in which the risk of loss occurred (at the time of the contract conclusion) by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option contracts based on the theory of real value. This decision appears reasonable in that the theory of real value was incorporated to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option contracts and strict calculations were made based on the actual amount of loss, not the amount of ri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