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증언거부권과 위증죄의 성부 - 판례이론의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ight to Refuse to Testify and the Establishment of Perjury - With a focus on the analysis of precedent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5.02
27P 미리보기
증언거부권과 위증죄의 성부 - 판례이론의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강원법학 / 44권 / 813 ~ 839페이지
    · 저자명 : 최상욱

    초록

    증언거부권은 증인에게 증언의무의 이행을 거절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 것이고, 형사소송법 제160조의 증언거부권의 고지는 증인에게 그러한 권리의 존재를 확인시켜 침묵할 것인지 아니면 진술할 것인지에 관하여 심사숙고할 기회를 부여하여 침묵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대법원은 증인이 증언거부권을 고지 받고도 허위진술을 한 때에는 위증죄의 성립을 인정한다. 증언거부권의 행사는 증인의 권리이고 의무는 아니다. 증인이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기 위해 허위진술로 타인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행위는 불이익한 진술강요금지를 규정하고 있는 헌법 제12조 제2항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이외의 경우에는 무조건 위증죄를 인정할 것이 아니라 진실한 증언을 할 것을 기대할 수 없는 예외적인 사정이 있는 경우에 위증죄의 부정가능성을 검토할 여지는 있다고 보아야 한다.
    다음으로 대법원은 증인이 증언거부권을 고지 받지 못하고 허위진술을 한 경우에 그 증인은 “법률에 의하여 선서한 증인”이 아니므로 위증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증언거부권을 고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위증죄가 성립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즉, 증언 당시 증인이 처한 구체적인 상황, 증언거부사유의 내용, 증인이 증언거부사유 또는 증언거부권의 존재를 이미 알고 있었는지 여부, 증언거부권을 고지 받았더라도 허위진술을 하였을 것이라고 볼 만한 정황이 있는지 등을 전체적ㆍ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증인이 증언거부권을 고지 받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증언거부권을 행사하는 데 사실상 장애가 초래되었다고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위증죄의 성립을 인정한다.
    그러나 사실상 장애초래여부를 위증죄의 판단기준으로 삼는 대법원의 태도는 타당하지 않다. 사실상 장애초래여부를 위증죄의 성립과 연계하는 것은 외견상 증인보호에 기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현실적으로 위증죄의 가벌성을 확장시키는 도구로 작용할 뿐이다. 증언거부권의 고지는 입법자가 증인보호를 위해 마련한 법적 장치로서 헌법상 불이익 진술강요금지를 실현하는 매우 중요한 규정이다. 증언거부권의 미고지는 적법절차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다. 증인이 증언거부권을 고지 받지 못한 채 허위진술을 한 때에는 다른 사유의 고려 없이 위증죄의 죄책을 부정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right to refuse to testify grants a right to refuse to implement the duty of testimony to a witness. The notification of the right in Article 160 of Criminal Procedure Code confirms the presence of the right to a witness, offers him or her enough opportunities to contemplate over whether to remain silent or make a statement, and thus guarantees him or her the right to remain silent.
    The Supreme Court recognizes the establishment of perjury when a witness makes a false statement even after the notification of right to refuse to testify. The exercise of right to refuse to testify, however, is not the duty of a witness but a right. The act of a witness holding someone else accountable with a false statement to maintain his or her innocence is beyond the limits of Article 12, Clause 2 of Constitution, which prohibits a pressure to make an unfavorable statement. It is valid, however, to admit that there can be cases to deny perjury because of exceptional circumstances not to expect a truthful testimony rather than recognizing perjury unconditionally in the other cases.
    The Supreme Court finds no perjury in witnesses that make a false statement without being notified of right to refuse to testify because they are not “witnesses that made an oath by law.” It, however, leaves the possibility of perjury open in cases where the right to refuse to testify is notified. That is, it recognizes the establishment of perjury when a witness is not notified of right to refuse to testify and has no de facto obstacles to its exercise based on a total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specific situations in which the witness is at the time of testimony, content of reasons to refuse to testify, whether the witness already knew the reasons to refuse to testify or the right to refuse to testify, and any circumstances to assume that the witness made a false statement even after the notification of right to refuse to testify.
    It is, however, not valid that the Supreme Court makes a de facto obstacle a criterion to judge perjury. Associating a de facto obstacle with the establishment of perjury seems to make a contribution to witness protection on the surface, but it works as an instrument to expand the punishability of perjury in reality. The notification of right to refuse to testify is a legal device devised by the legislators to protect a witness and a very important provision to observe the principle of prohibiting pressure on unfavorable statements in the Constitution. Absence of notification of right to refuse to testify is a major violation of due process. When a witness makes a false statement without being notified of right to refuse to testify, his or her liability for perjury should be denied without considering other cau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