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의 비범죄화에 관한 입법론적 검토 (Legislative Review on the decriminalization of libel in announcement of the truth)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9.02
39P 미리보기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의 비범죄화에 관한 입법론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1권 / 3호 / 247 ~ 285페이지
    · 저자명 : 박정난

    초록

    우리 형법에 의하면 적시한 사실이 설령 진실이라 하더라도 명예훼손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고, 다만 형법 제310조 등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되면 소극적으로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다. 판례는 국민의 표현의 자유및 알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위법성 조각을 넓게 인정하고 있다. 명예권은 사회적 동물인 사람이 인간답고 행복하게 살기 위하여 반드시 보호되어야 하는 중요한 기본권으로 생명권, 재산권보다 열위에 있다고 볼 수없고, 특히 각종 SNS의 발달로 명예훼손의 파급효과가 심각하여 일종의‘정신적 살인’까지 이르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명예훼손행위를 민사적으로만 규제하고, 완전히 형사처벌 밖의 영역에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않다. 또한 아무리 진실이라 하더라도 사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공개적으로 적시하는 것은 헌법상 기본권인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며 국민의 표현의 자유 및 알권리의 대상이 된다고도 할 수 없다. 그러나 공인의 업무 수행에 관한 진실은 국민의 알권리의 대상으로서 이를국민들에게 공개적으로 알리는 것은 민주사회 국민의 당연한 권리이자의무로서 범죄로 구성해야 하는 불법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형사처벌 규정은 기본권의 충돌을 야기하므로 헌법상 비례의 원칙을 준수해야 하는데 국민의 표현의 자유가 공인의 명예권보다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점, 현실적으로도 명예훼손죄 처벌조항이 정치인들의 진실 은폐수단으로서 적지 않게 악용되고 있는 점 등으로 고려할 때 형법상 명예훼손죄 처벌조항은 개정이 필요하다. 즉 공인의 공적 영역과 관련된 사실적시에 대하여는 명예훼손죄의 비범죄화가 필요하다. 비범죄화의 대상인공인은 그의 명예권이 상당 부분 제한되므로 범주를 엄격히 설정해야 하는데 국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그 업무수행에대하여 국민의 상시적 감시 및 비판을 수인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으로서 고위 공직자 및 정치인이 해당한다. 또한 공적 영역은 독일의 인격영역이론을 참고하여 사회적․공개적 영역과 업무집행과 관련이 있는비밀․사적 영역이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개정안을 제시하면, 명예훼손죄 편장 부분에 ‘명예훼손죄의 피해자 제한 조항’을 신설하여 국가, 공인 등은 피해자에서 제외하고 공인 및 공적 영역에 대한 일반적 정의조항을 넣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공인의 공적영역에 관한 진실 공표는 이렇듯 국민의 당연한 기본권 행사이기 때문에민사상 불법행위책임도 성립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법체계의일관성과 명확성을 위하여 명예훼손과 관련된 다른 특별법인 정통망법, 공직선거법 등의 관련조항도 함께 비범죄화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our Criminal Law, even if the statement are true, it can be libel. Only if the statement meets the requirements of Article 310 of the Criminal Act etc., the illegality can be counteract passively.
    The court acquit a person of libel in many cases by judging elastically if the statement meets the requirements to protect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right to know. The honorary right is important basic right for the humanly and happy life so it is not inferior to the right of life and property right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by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ing sites, libel lead to serious effects such as mental murder, it is not desirable to regulate libel acts only privately and to leave them entirely outside criminal punishment.
    Moreover no matter how true it may be, public disclosure of other people's privacy is violation of the basic constitutional right of privacy and freedom and other people's privacy is not the subject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right to know. However, the public must know about the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so public disclosure of the truth about the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is not crime but a natural right and duty of the people in a democratic society. Also freedom of expression of the people is absolutely superior to the right of honor of the public so the penal code for libel goes against the principle of proportion. In addition, not a few politicians are using the libel penalty as a means of covering up the truth in reality. Therefore libel must be decriminalized if the statement is the truth about public domain of public figures. We need to set up a strict category of public figures that are subject to non-crime, because the honorary right is quite limited. High rank officials and politicians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because they are people wh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olitical decision of the people and who have to accept the people's ongoing monitoring and criticism for their performance.
    Referring to Germany's personal domain theory, public areas are social areas, public areas and private areas related to the execution of tasks.
    I suggest a detailed revision by inserting a clause to limit the victim of a defamation offence in the section of the penal code of libel.
    Meanwhile, public disclosure of the truth about the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is a natural right and duty of the people so it is not illegal act by civil law and for the consistency and clarity of the legal system, it is reasonable to decriminalize other clauses such as the National Network Act and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which are related to defa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