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업무방해죄에 있어서 쟁의행위의 정당성 (Justification of industrial action in The Offense of Interference with Busines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0.02
23P 미리보기
업무방해죄에 있어서 쟁의행위의 정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2권 / 3호 / 447 ~ 469페이지
    · 저자명 : 유각근

    초록

    이 글은 하나의 명제의 타당성과 그 함의를 검토하는 것이다. 그 명제란, 기존의 위법성조각사유는 불법결여로서 불법조각사유와 정당성귀속으로서정당화사유로 분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령 도박죄에서의 ‘일시오락의 정도’에 관한 구절의 의미는, 경미한 도박은 불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은 도박죄를 정의함에 있어서 적극적정의만으로는 불법평가와 일치시킬 수 없는 언어적 한계에 연유하는 것이다. 가치평가와 언어가 일치할 아무런 이유가 없기 때문에 불법조각사유는불가피하다. 엄밀하게 범죄를 정의하려고 하면 독일형법에서처럼 추상적인 위법성표지–위법하게, 정당한 이유 없이–나 소극적 문장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사유들이 불법조각사유들이다. 한편 범인에 대한 영장체포는, 단순한 불법의 결여가 아니라, 정당성이 귀속되는 정당한 행위이다. 정당방위 등 정당화사유는 정당한 행위로서 앞의 불법조각사유와는 본질이 다르다. 영미형법체계에 있어서는, 이 둘이 명확하게 분할되어 있는 것에서도, 이러한 ‘분할명제’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불법조각사유는 ‘범죄수정항변’으로, 정당화사유는 정당화항변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미국모범형법전은 강요죄나 공갈죄도, 소극적 문장의 범죄수정항변이 규정되어 있으며, 개별범죄의 범죄수정항변의 수는 약 23개에 달한다.
    이렇게 불법조각사유와 정당화사유를 분할하면, 불법조각사유는 소극적구성요건이라고 해야 한다. 왜냐하면 불법의 귀속에 관한 것으로, 이것을포함해야 구성요건 –범죄의 정의- 이 완결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구성요건과 위법성을 구별하는 기존의 범죄체계론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외에 많은 개별적 논점들에 근원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최근 한국에서 쟁의행위와 업무방해죄에 관한 헌법재판소와대법원의 대립은 위법성조각사유의 미분화와 혼동에 의한 하나의 해프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is a unique legal case that constitutional court and supreme court of one country participated. And the theoretical conclusion of that case is that the elements of offense definition and facts of justification defense can be replaced mutually. In German theory of Jurisprudence, Tatbestand(the elements of offense definition) and Rechtsfertigunsgründe (grounds of justification defense) are different absolutely, so the replacement of them cannot be imagined. But the practical evidence of replacement in this case means that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established criminal jurisprudence is questionable.
    The way to get out of our theoretical dilemma is dividing the justification grounds into two ; One is the grounds of excluding wrongfulness, and the other is grounds of justification. The first step of criminal jurisprudence is to define the offense. Defining offense is imputation of wrongfulness. Positive imputation of wrongfulness is to say that a specific act is a offense. And negative imputation of wrongfulness is to say that a specific act is not a offense because attendant circumstances exclude the wrongfulness from that act. The former is the ground of wrongfulness imputation. The latter is the ground of wrongfulness exclusion. All of these, imputation and exclusion of wrongfulness, are the subsumption(Tatbestandsmäßigkeit) of the elements of defined offens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grounds of justification and exclusion of wrongfulness is natural in American criminal theory. The grounds of wrongfulness exclusion is offense modification defense in American criminal law. And the grounds of justification is justification defense.
    Offense modification defense authorized acquittal of a defendant, even though his conduct satisfies the offense elements, when the underlying purpose proscribed by that offense is negated by the conditions that constitute the defense. By contrast, justification defense is one that defines conduct which under some circumstances is socially acceptable and which is outweighed the harm by furthering a greater societal interest. After all, our argument is to introduce the offense modification defense in existing theory of crime as grounds of wrongfulness exclusion. So finally, we can unify the system theory of cr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