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욕죄 국내 판례에 대한 경험적 연구 (The Insult Law in South Korea and Content Analysis of Recent Legal Case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0.04
41P 미리보기
모욕죄 국내 판례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4권 / 2호 / 117 ~ 157페이지
    · 저자명 : 박장희

    초록

    이 연구는 극단적 발언(extreme speech)을 모욕죄를 통해 규제하는 것이 우리 사회가 근간으로 하는 자유민주주의의 가치체계와 부합하는 것인지 문제제기한다. 극단적 발언을 당위론적으로 규제해야 한다거나, 경험적 근거없이 모욕죄가 발언의 자유의 위축을 비롯한 부정적 효과를 가져온다고 성급히 결론짓기 보다는, 모욕죄 소송 국내사례들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모욕죄가 우리 사회에 실제로 적용되는 양상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모욕죄가 우리 사회의 발언의 자유 및 공동체 예절규범에 미치는 영향과 모욕죄를 통해 우리 사회의 담론권력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 연구는 법원의 판결서 인터넷 열람 시스템(2019년 1월 1일 공개)을 통해, 2013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5년간 모욕죄 단독범인 1심 판결문 총 7,364건을 수집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 표집을 통해 총 505건의 판결문을 추출했다. 이를 대상으로 경험주의 법학 방법론에 근거해 정량, 정성 분석했다. 총 505건 판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피고인과 고소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 관계, 모욕내용, 법원판결 등의 변수를 탐색하고 이 변수들 간 관련성 및 교차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국내 판례분석을 통해 세 가지 주요한 경향을 발견했다. 첫째, 모욕죄 소송이 공인의 권익을 보호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모욕죄 소송의 상당수가 특히 경찰관 대상 모욕이었는데, 모욕죄를 통해 결과적으로 공권력이 시민들의 발언의 자유를 제한하고, 모욕죄가 공권력에 대한 예절을 강제하는 담론권력으로 작동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모욕죄 소송이 사회적 위계가 낮은 이의 발언의 자유를 제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모욕죄가 사회적 약자의 저항권을 약화시킬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욕설을 사용하거나 모르는 이를 모욕한 경우 유죄 판결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모욕죄가 공동체 예절규범을 강제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민주주의 사회의 바람직한 의사소통 양식의 정착을 위해 극단적 발언을 지양해야 하며, 극단적 발언을 쏟아내는 이들은 사회적 제재를 받아야 한다. 극단적 발언으로 인해 고통받는 사회적 약자에게 관심도 기울여야 한다. 그렇지만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겠다는 선의에서 비롯된다 하더라도, 국가가 나서서 극단적 발언을 규제하려 한다면 이는 정치적 의도에 의해 쉽사리 왜곡되고 오용될 수 있다. 미끄러운 경사면(slippery slope)을 타고 내려와 부적절한 모든 발언들을 법적 제재를 통해 해결하려는 응징과 처벌 중심적 사회를 형성시킬 위험 또한 야기한다. 나의 발언의 적절성 여부를 개인의 양심의 판단이 아닌 법적 처벌 가능성을 염려해 판단해야 하는 사회를 건강한 사회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경계심에 말하기 두려워하는 잔뜩 움츠려든 시민들을 만들어 낸다. 과격하고 더럽고 무례한 발언들, 부적절한 감정을 표현하는 극단적 발언들을 용인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장점을 향유하기 위해 우리사회가 지불해야 하는 일종의 비용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claims that punishing extreme speech as a criminal offense through the insult law is inconsistent with the value system of liberal democracy. Rather than advocating that insults and extreme remarks should be restricted on a moral basis, or asserting that the insult law makes a negative influence on our society due to its chilling effect over freedom of speech without any empirical evidence, it attempts to analyze recent legal cases and explores how the insult law is currently applied in society. This empirical approach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insult law on freedom of speech and civility norms of community, thus explores how discursive power of our society functions through the insult law. Methodologically, this study collected 7,364 insult cases occurred between January 1, 2013 and December 31, 2017 via the court’s online system. From the cases, it extracted 505 legal cases by systematic sampling. By using the method of empirical legal studies, the sample data was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analyses exam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laintiffs and defendants, their social relations, contents and expressions of insulting remarks, the court’s dispositions, and cross tabulations of these variables. The results reveal the following three key findings: First, the insult law tends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ublic figure and public official. In particular, police officers frequently resort to the insult law to curtail citizens’ freedom of speech, and this leads to the outcome where the law serves as a de facto discursive power to enforce civility toward public authorities. Second, the insult law is most likely to sanction freedom of speech for those who are at the lower ranks of the social hierarchy, leading to the possibility that the insult law deprives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of the tool for resistance. Third, the insult law tends to be used as a means of enforcing civility norms of community. When we insulted strangers or swore in public, we were more likely to be found guilty of insult charges, compared to when we insulted acquaintances or without swearing. Extreme remarks should be avoided and those who make extreme remarks should be subject to sanctions. However, state’s regulations of extreme speech can be easily distorted and polluted by politics. Regulations can further slide down the slippery slope to form a rigid, punitive society, where citizens resort to legal sanctions to resolve any social conflicts originating from extreme remarks. A sound democracy is not likely to stem from overly-regulated and over-censored society where one should have to worry about the legal consequences of free speech rather than following his or her own conscience. Further, legal sanctions of extreme words will likely beget timid and discouraged citizenry leaving little room for free speech. Ultimately, we need to accept radical, dirty, rude, or otherwise negative and extreme remarks of improper inappropriate emotions as a social cost to pay for a more democratic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