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 - 문형섭 선생의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Das Verhältnis zwischen Unterschlagung und Untreu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0.04
25P 미리보기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 - 문형섭 선생의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0권 / 1호 / 131 ~ 155페이지
    · 저자명 : 김재윤

    초록

    본 논문에서는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 및 그 구별기준에 대한 검토가 시도되었다.
    다수설에 따르면 횡령죄와 배임죄는 상호 독립적인 범죄가 아니라 횡령죄가 배임죄의 특별한 형태로 하위 사례라 한다. 이에 횡령죄가 성립하면 동시에 배임죄도 성립하며, 이러한 면에서 횡령죄가 특별법에 해당한다. 무엇보다 배임죄의 행위객체와 관련하여 다수설에 따르면 재물이라는 개념이 재산상 이익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는 법조경합의 인정된 사례군과 관련하여 특별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소수설은 한국 형법전에 있어 재물의 개념과 재산상 이익의 개념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금전과 부동산은 재산상이익이 아닌 재물의 개념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견해에 따르면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는 특별관계와 정반대로 택일관계로 파악될 수 있다. 택일관계는 두 개의구성요건이 서로 양립할 수 없는 행위를 포함하고 있고 이 때문에 어느 하나만 적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우선 다수설은 재산범죄에 있어 재물의 개념과 재산상 이익의 개념을 명백하게 상호 구별하고 있는 한국 형법전의 체계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나아가 소수설은 배임죄의 행위객체에서 예를 들어 금전과 부동산과 같은 재물을관련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배임죄의 가벌성을 매우 제한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전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맺을 수 있다: 재산상 손해라는 추가적인 구성요건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배임죄는 횡령죄와의 관계에 있어 특별관계가 아닌 상호 독립적인 범죄로 이해해야 한다. 횡령죄와 배임죄의 행위객체로서 파악될 수 있는 재물의경우에는 소유권자의 이익과 배치되는 소유상태의 변화로 인해 객관적으로 불법영득의사의 표현으로 간주할 수 있는 횡령행위에 따라 두 죄를 구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한국 형법전 제355조 제2항 (배임죄)의 행위객체로서 재산상 이익과 함께 재물을 함께 규정할 것을 입법론에 의한 해결책으로서 제안한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er Versuch unternommen, das Verhältnis und das Unterscheidungskriterium zwischen Unterschlagung und Untreue zu erklären.
    Nach herrschender Meinung sind Unterschlagung und Untreue nicht etwa zwei einander selbständig gegenüberstehende Delikte, vielmehr ist Ersterer ein Unterfall, eine präzise gestaltete Erscheinungsform der Untreue. Liegt Unterschlagung vor, so ist zugleich Untreue erfüllt, insoweit ist Ersterer lex specialis. Vor allem im Hinblick auf den Handlungsobjekt der Untreue kann nach dieser Auffassung der Vermögensgüterbegriff in den Vermögensvorteilsbegriff eingeschlossen werden. Daher ist das Verhältnis zwischen Unterschlagung und Untreue als die Spezialität in Bezug auf anerkannte Fallgruppen der Gesetzeskonkurrenz zu erklären.
    Im Gegensatz wird von einigen Autoren eine Sichtweise vertreten, die der Vermögensgüterbegriff und der Vermögensvorteilsbegriff im korStGB sich voneinander unterscheiden, da z.B. das Bargeld und das Grundstück nicht zum Vermögensvorteilsbegriff, sondern zum Vermögensgüterbegriff gehört. Als die Alternativität, die das Gegenstück zur Spezialität ist, kann nach dieser Auffassung das Verhältnis zwischen Unterschlagung und Untreue in Betracht kommen. Sie liegt dann vor, wenn zwei Tatbestände einander widerstreitende Handlungsbeschreibungen enthalten und sich deswegen gegenseitig ausschließen.
    Die überwiegende Meinung ist zunächst ebenso wenig überzeugend, da sie nicht das System des korStGB entspricht, das den Vermögensgüterbegriff und den Vermögensvorteilsbegriff im Vermögensdelikt ausdrücklich voneinander unterscheidet.
    Weiterhin wird die mindere Meinung im strafrechtlichen Schrifttum vorgeworfen,dass die Strafbarkeit der Untreue sehr beschränkt würde, da insofern der Handlungsobjekt der Untreue nicht auf die Vermögensgüter, z.B. das Bargeld und das Grundstück, bezogen werden kann.
    Zusammenfassend bleibt festzuhalten: Im Verhältnis zur Untreue, die das zusätzliche Merkmal des Vermögensschadens enthält, ist Unterschlagung nicht lex specialis sondern einander selbständig gegenüberstehender Delikt zu verstehen.
    Beim Vermögensgüter, der als Handlungsobjekt der Unterschlagung und Untreue anzusehen ist, sollte Unterschlagung und Untreue nach der Unterschlagungshandlung,die aufgrund der den Eigentümerinteressen zuwiderlaufenden Veränderung der Besitzlage objektiv als Manifestation eines Zueignungswillens anzusehen ist,unterscheidet werden. Schließlich schlage ich als Lösungseweg durch Gesetzgebung vor, dass der Vermögensgüterbegriff zusammen mit dem Vermögensvorteilsbegriff als das Handlungsobjekt im § 355 Abs. 2 korStGB [Untreue] bestimmt wi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