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중기 봉화 청량사 건칠보살좌상 연구 (A Study on the Seated Dry Lacquer Bodhisattva Statue in the mid-Goryeo Dynasty at Cheongyangsa Temple, Bonghw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1.10
32P 미리보기
고려중기 봉화 청량사 건칠보살좌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32권 / 83 ~ 114페이지
    · 저자명 : 정은우, 임슬령

    초록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청량사의 유리보전에 협시보살로 봉안되어 있는 건칠보살좌상은 산내 암자인 문수암에서 이안된 것이라고 전한다. 보살상의 내부에 서는 다라니와 경전 등 고려시대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보살상은 이마가 넓은 이국적인 인상과 통견식 대의, 무릎에 삼각꼴로 흘러내린 대의자락 등이 특징으로 중국 남송의 영향을 받은 고려중기경의 작품이다. 이러한 특징은, 1199년 안동 봉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등 경상도 지역에서 조성되는 12-13세기 보살상에 보이는 특징인 점에서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이한 점은, 개금 보수 과정에서 등과 어깨부터 가슴 앞을 지나 배로 연결되는 영락을 별도로 붙였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배와 허벅지 옆면에서 실제 영락의 일부가 발견되 었다. 또한 양 무릎에는 대칭적으로 구멍이 남아 있어 실제 별도로 만든 영락을이 구멍에 고정하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와 유사한 형식의 영락은 보발과 같은 재질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보살상의 제작기법은 상의 내부는 비어있고 건칠층은 5겹에서 8겹이며, 양쪽 귀는 몸체와 같은 건칠로 제작하였다. 양쪽 손은 나무로 제작하였으며 손목 부분에서 잇댄 나무는 장부맞춤으로 연결되고 못이 박혀있다. 내부에 남아 있는 흙을 제거하기 위해 정수리 부분을 직경 12cm 내외로 절개하였으며 이 부분은 접착 되어있지 않은 상태였다. 눈동자는 비정형적인 형태의 광물(석영 또는 유리)이 감입되어 있으며, 감입할 때 상의 안쪽에서 고정시키고 점토와 같은 물질로 눌러 붙인 방식에서 다른 상과 차별된다.
    이 보살상은 2020년에 개금불사가 진행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탈락된 칠삼베 편을 미국 베타연구소에 의뢰하여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1,152∼1,260년(90.4%)으로 조사되어 보살상의 양식적인 조성연대와 유사한 분석결과가 나왔다. 즉 우리나라의 건칠불상은 고려후기에서 조선전기까지 집중적 으로 나타나며 청량사 건칠보살좌상은 초기의 건칠상에 해당한다. 따라서 청량사 건칠보살좌상은 우리나라 건칠 제작기법 연구와 고려중기 남송과 연관된 특징을 보이는 고려중기의 중요한 보살상이라는 중요성을 지닌다.

    영어초록

    Dry lacquer Bodhisattva statue at Cheongyang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Bongwha district in the Gyungsangbukdo Province, is enshrined as a attendant Bodhisattva in the Medicine Buddha Hall called Yuribozon 琉璃寶殿. It is said that the statute was moved from Munsuam temple in the mountain hermitage. Inside of the Bodhisattva statue, relics of the Goryeo period, such as Dharani and the scriptures, were found. The Bodhisattva statue is a work of the middle Goryeo dynasty influenced by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is characterized by an exotic impression with a wide forehead, wide garment covering both shoulders, and drapery hem flowing down in the shaped of triangular to the knees. As these characteristics of Bodhisattva statues were seen in the area of Gyeongsang province around 12th~13th century including seated wooden Avalokitesvara statue at Bongjeongsa Temple in Andong city in 1199, the dry lacquer Bodhisattva statue at Cheongyangsa Temple was presumably created around the same period. Interestingly, during process of gilt repainting the statue, a mark indicating jewel ornamentation was attached separately from back and shoulder sides to chest and stomach sides. Other jewel ornamentation was found on the belly and thigh sides. As holes were found symmetrically on both knees, separate jewelry were possibly fixed in those holes. It is presumed that a similar type of jewelry wa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air.
    The production technique of the Bodhisattva statue is that the indide of the statue is empty, dry lacquer forms 5 to 8 layers, and material of both ears of the statue are the same dry lacquer as the body. Both hands are made of wood, and the wood joined at the wrist is connected by tenon joint and nailed. To remove the soil remained inside, the crown of the head was incised about 12cm in diameter and was not glued. A typical form of minerals (quartz or glass) were embedded in the pupil, and were fixed from inside of the statue and pressed with material such as clay, which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statues.
    The gilt repairing of Bodhisattva statue was completed in 2020, and radiocarbon dating was carried out at the Beta Research Center in the USA with a sample of the burlap fragment at bottom side of the statu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formation period of the Bodhisattva statue was in 1152 ~ 1260 years (90.4%), which is similar to the stylistic age of the Bodhisattva statue. Dry lacquer Bodhisattva statues in Korea appeared intensively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seated dry lacquer Bodhisattva statue of Cheongnyangsa Temple corresponded to the early period of the dry lacquer statues. Therefore, the dry lacquer Bodhisattva statue of Cheongnyangsa Temple is an important work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tudy of dry lacquer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middle Goryeo period and to the relationship with Southern So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