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dP 고⋅중⋅저 위험군 3종에 대한 in vitro 심혈관계 안전성약리 평가 (In vitro Cardiac Safety and Pharmacology Assessment of the 3 Drugs Categorized as TdP Low Risk, Intermediate Risk and High Risk)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2.12
10P 미리보기
TdP 고⋅중⋅저 위험군 3종에 대한 in vitro 심혈관계 안전성약리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지 / 16권 / 1호 / 15 ~ 24페이지
    · 저자명 : 안진렬, 정인교, 박성혜, 김관수, 권찬혁, 최선옥

    초록

    현재의 신경발생독성시험은 주로 in vivo 시험에 의존하고 있으며 동물의 수, 비용 및 시간 등 여러 제약으로 많은 종류의 화학물질을 평가할 수 없다. 최근에는 신경계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는 시험물질의 스크리닝을위한 in vitro 시험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신경발생독성 대체시험법으로 신경발생과정의 종말점(endpoint)를 측정하는 in vitro 시험법이 연구되고 있는데 단일 in vitro 시험법만으로는 모든 신경발생과정을 완전하게 포함할 수 없다.
    따라서 신경발생과정의 주요단계를 종말점으로 시험법을 엮어 시험법 조합(test battery)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uman neuroprogenitor cell인 인체신경세포(ReNcell™ CX)를 이용하여 세포생존률(MTT assay) 및 증식(BrdU assay)을 효소면역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측정하여 신경발생독성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이전의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쉽고 빠르게 많은 물질들을 평가할 수 있는장점이 있다. 먼저 알려진 항증식/비항증식 물질을 사용하여 이 스크리닝 시험법을 최적화하기 위해 시험하였다.
    그 결과 이전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100 %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체신경세포를 사용하여세포생존률 및 세포증식을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활용연구에서는 총 18종을 시험물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1종의 시험물질인 Acrylamide, Bisphenol A, Carbamazepine, Chlorpyrifos, Diethylstilbestrol, Perfluorooctanoic Acid, Sodium arsenite, 3,3',5,5'-Tetrabromobisphenol A, Ibuprofen, Omeprazole, Verapamil을 신경발생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판정하였고, 7종의 시험물질인 Di(2-ethylhexyl) phthalate, Fluconazole, Permethrin, Atropine, Captopril, D-Mannitol, Dinotefuran은 신경발생 가능성이 없는 물질로 판정하였다. 위의 결과로 민감도 70 % (7/10), 특이도 50 % (4/8), 정확도 61 % (11/18), 위양성률 50%(4/8), 위음성률 30%(3/10)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in vivo 시험법과 대비하여 빠른 시간 내에 많은 물질을 측정 및 평가가 가능한 신경발생독성in vitro 스크리닝 시험법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 시험법은 단일 in vitro 스크리닝 시험법으로다른 in vitro 시험법들과 조합하여 평가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 Assay (CiPA) project has been recently proposed to assess the proarrhythmic risk on multiple cardiac ion channels in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Due to be based solely on in vitro hERG channel block and in vivo QT prolongation, the current ICH S7B nonclinical testing strategy is imperfect and used to be mis-identified for an evaluation of drug-associated torsade de pointes (TdP) risk. The inhibition of hERG channels induces QT prolongation and even generate TdP, while the balanced block of other cardiac ion channels such as Nav1.5 sodium channels and Cav1.2 calcium channels reduces QT prolongation or TdP occurrence. From this reasons, we investigated the drug effects on Nav1.5 channels and Cav1.2 channels as well as hERG channels. First,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3 CiPA training set drugs categorized as proarrhythmic low risk (mexiletine), intermediate risk (chloropromazine) and high risk (sotalol) on three cardiac ion channels. Using the manual whole-cell patch clamp technique, each cardiac ion currents were measured in cell lines expressing hERG, Nav1.5, and Cav1.2 channels, respectively. In addition, field potential duration (FPD) in human-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cardiomyocytes (hiPSC-CMs) were recorded by performing microelectrode array (MEA) to confirm the integrative channel effect of those drugs. As a result, all of sotalol, chloropromazine and mexiletine blocked hERG channels, whereas chloropromazine and mexiletine inhibited Cav1.2 calcium currents more than sotalol, expecting the reduction of QT prolongation and TdP occurrence via balanced ion channel block by chloropromazine and mexiletine. Corresponding to these results, furthermore, sotalol induced more prolonged FPD in hiPSC-CMs as compared to chloropromazine and mexiletine.
    Thus, we suggest that the optimization and development of new in vitro cardiac safety and pharmacology test strategy on multiple cardiac ion channels to comprehensively predict proarrhythmic ri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