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온라인 유통 복어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of Labeling Compliance for Commercial Pufferfish Products Sold in Korean On-line Market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3.12
12P 미리보기
국내 온라인 유통 복어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8권 / 6호 / 464 ~ 475페이지
    · 저자명 : 이지영, 김건희, 강태선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마켓에서 판매되는 50개 복어제 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일치여부 모니터링을 수행했다. 복어의 종판별을 위해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및 cytochrome b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있는 생물종의 염기서열과 비교 후 계통 분석을 수행했다. 참복, 흰점참복, 까치복, 복섬, 검복, 국매리복, 흑밀복 총 7종이 동정되었으며, 35개 제 품(70%)에서 표시사항과의 불일치를 나타냈다. 12개의 제 품(24%)에서는 식품공전에서 제시한 식용 가능한 복어 21 종의 국명 대신 일반명(복어)을 사용하였다. 가공 정도별 불일치율은 다중가공 제품(n=9, 81.8%)이 단순가공 제품 (n=26, 66.7%)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원산지별 불일치 율의 경우 중국산 제품(n=8, 80%)이 국산 제품(n=26, 66.7%)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시장명, 방언 등의 이름이 혼용 되어 다수의 복어종을 밀복, 졸복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흰점참복, 국매리복과 같은 식 용불가 복어가 식용 가능한 복어인 졸복으로 혼용되어 판 매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식용 가능한 복어를 정확 히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수입 및 국내 유통 복어 제품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based on an analysis of two DNA barcode markers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and cytochrome b genes), we performed species identification and monitored labeling compliance for 50 commercial pufferfish products sold in on-line markets in Korea. Using these barcode sequences as a query for species identifica 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we screened the GenBank database. A total of seven pufferfish species (Takifugu chin ensis, T. pseudommus, T. xanthopterus, T. alboplumbeus, T. porphyreus, T. vermicularis, and Lagocephalus cheesemanii) were identified and we detected 35 products (70%) that were non-compliant with the corresponding label information. Moreover, the labels on 12 commercial products contained only the general common name (i.e., pufferfish), although not the scientific or Korean names for the 21 edible pufferfish species. Furthermore, the proportion of mislabeled highly processed products (n = 9, 81.8%) was higher than that of simply processed products (n = 26, 66.7%). With respect to the country of origin, the percentage of mislabeled Chinese products (n = 8, 80%)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products (n = 26, 66.7%). In addition, the market and dialect names of different pufferfish species were labeled only as Jolbok or Milbok, whereas two non-edible pufferfish species (T. vermicularis and T. pseudommus) were used in six commercial pufferfish products described as JolboK and Gumbok on their labels, which could be attributable to the complex classification system used for pufferfish. These monitoring results highlight the necessity to develop genetic methods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the 21 edible pufferfish species, as well as the need for regulatory monitoring of commercial pufferfish produ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