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례인(John C. Crane, 1888-1964) 선교사의 종말론 연구 (A Study on the Eschatology of John C. Crane(1888-1964), a Missionary Professor)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1.03
32P 미리보기
구례인(John C. Crane, 1888-1964) 선교사의 종말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개혁논총 / 55권 / 41 ~ 72페이지
    · 저자명 : 이상웅

    초록

    구례인(John C. Crane, 1888-1964)은 이눌서(William D. Reynolds, 1867-1951)를이어서 평양 장로회신학교 조직신학 교수가 되었고, 1953년에는 선교사 교수들 가운데는 최초로 『조직신학』 교본을 출간했다. 중국 신학자 가옥명의 『신도학』을 번역하여 교재로 사용했던 선임자와 달리 구례인은 미국 개혁주의 신학자들인 로버트 댑니, 핫지 부자, 루이스 벌코프 등의 교본들을 활용하여 방대한 조직신학 교본을 출간함으로 한국 장로교 신학사에 큰 획을 그었다. 하지만 학계의 동향을 보면, 지금까지 구례인의 선교사역이나 교수사역에 대한 연구나 그의 신학에 대한 평가작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논자는 본고를 통해 구례인의 종말론을 논구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가 중요한것은 그의 선임자들 대다수가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장로교 신학과 조화된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열정적으로 가르친 것과 대조적으로 일찍이 무천년설이 성경적인종말론이라고 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본고에서 구례인이 종말론을 논의한 순서대로 네 부분으로 논구해 보았다: 사후 세계(2절), 그리스도의 재림(3절), 일반 부활(4절), 일반 심판과 최후 상태(5절). 구례인은 죽음이 죄의 결과라고 보고, 죽을 때에 영혼과 육체가 분리되나 이원론에 근거한 영혼 불멸론은 거부하였다.또한 그리스도의 재림을 무천년설의 관점에서 논의하였기 때문에, 단 한 번의 부활, 단 한 번의 재림 그리고 단 한 번의 최후 심판 등을 말할 수가 있었다. 이는 구례인의 표현대로 하자면 “재림에 대한 교회의 기초적 공통적 교리”인 것이다. 구례인은 최후 심판의 기준들에 대해서도 바르게 해명하고, 최후 상태에 대해서는 장소성을 인정하면서도 의인들과 악인들이 누리게 될 영적인 복에 집중하여 설명해 주었다. 우리는 이러한 구례인의 종말론을통해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종말론을 교정하여 개혁주의적인 종말론에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그의 수고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그의 종말론에도 약점들이없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그의 세계 파괴설적인 경향이 그러하고, 전체적으로그의 논의들이 풍성하게 전개된 것은 아니라고 하는 점도 그러하다.

    영어초록

    John C. Crane (1888-1964) succeeded William D. Reynolds (1867-1951) as a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at the Pyeng 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Crane published the extensive systematic theology textbook by compilating the textbooks of American reformed theologians such as Robert L. Dabney, Charles Hodge, A. A. Hodge, and Louis Berkhof. However, when looking at the trends of the academic circles,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Crane's missionary work, teaching ministry, and theology. With this situation in my mind, I examine Crane's eschatology in this paper.
    Following the introductory section, I examine in four sections according to the order of Crane’s work: the life after death (section 2), the Second Coming of Christ (section 3), the general resurrection (section 4), the general judgment and the final state (section 5). Crane regarded death as a result of sin. Accordingly, he would claim the soul and body were separated at death, but he rejected the theory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ased on Greek dualism. Also, since the Second Coming of Christ has been discussed from the point of the Amillennialism: only one resurrection, only one return of Christ, and the general last judgment. Crane also correctly explained the criteria of the last judgment. While acknowledging the place of the final state, he focused on the spiritual blessings or torments that the righteous and the wicked would enjoy.
    We can confirm his efforts to correct the eschatology of Pyeng 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by presenting his reformed eschatology. Of course, his eschatology is not without weaknesses. Most of all, this is the case with his annihilatio mundi tende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