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와 그리스도교 종말론 (Kant und die Christliche Eschatologi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0.12
34P 미리보기
칸트와 그리스도교 종말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칸트학회
    · 수록지 정보 : 칸트연구 / 26호 / 111 ~ 144페이지
    · 저자명 : 김진

    초록

    그리스도교의 역사적 계시신앙을 도덕적 실천적 의도를 가진 윤리신학으로의 전환하려고 시도하였던 칸트는 「만물의 종말」에서 세계 종말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의 가능성 조건들에 대한 철학적 탐색을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만물의 종말’과 ‘영원’의 개념은 객관적 실재성을 가진 감성적 경험의 대상이 아니므로 이론적 지식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칸트에서 종말론적 사실들은 오직 실천적인 관점에서만 의미 있게 기술될 수 있다. 그것은 즉, 최고선의 실현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론적인 조건 명제들이다. 칸트는 만물의 종말을 실제 사건으로 인정하거나 부정하는 것보다는, 그런 사실들이 인간의 궁극 목적의 실현 가능성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지 않으면 안 되는 이른바 요청적인 특성을 갖는다는 사실에서 그 진정한 의미를 찾으려고 하였다. 최고선의 실현을 위해서는 만물의 종말 이후에도 ‘도덕적 행위 주체의 영원한 지속’이라는 존재 요청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칸트는 만물의 반자연적 종말은 인간에 의하여 궁극 목적을 인위적으로 실현하려는 잘못된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종교적 진리를 왜곡하거나 강제함으로써 종교의 근본을 부정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따라서 만물의 종말에 대한 칸트의 도덕신학적 해석은 권력 비판적 측면을 가진다. 칸트는 만물의 종말에 대한 실천적인 접근을 통하여 그리스도교 종말론의 선험철학적 가능성 조건, 즉 ‘선험적 종말론’을 탐색한 것이며, 이 때문에 그것은 최고선의 실현 가능성 조건으로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도덕적 행위 주체의 무한 지속 요청을 위한 윤리적 역사신학으로 규정될 수 있다.

    영어초록

    Kant versucht in praktischer Absicht den historischen Offenbarungsglaube in den Ethikotheologie zu transponieren. Mit einem gleichen Interesse formuliert er in seiner Schrift “Das Ende aller Dinge” die Bedingungsmöglichkeit des sinnvollen Anspruches auf dem Ende der Welt. Die Begriffe wie ‘Ende aller Dinge’ und ‘Ewigkeit’ haben keine objektive Realität, deshalb sie können kein Gegenstand der sinnlichen Erfahrung sein, damit kein Gegenstand der theortischen Wissens. Das Eschatologische kann bei Kant nur in praktischer Absicht sinnvoll beschrieben werden, d.i. als eine, notwendig geforderte, theoretische Annahme zur Bedingungsmöglichkeit der Verwirklichung des höchsten Gutes. Kant weder bejaht noch verneint das Ende aller Dinge als eine Tatsache, sondern interpretiert das im Sinne seiner Postulatenlehre. Zur Verwirklichung des höchsten Guts wird in der Dialektik der praktischen Vernunft unvermeidlich gefordert das Postulat der, nach dem Ende aller Dinge fortgehenden, ewigen Fortdauer des moralischen Subjekts. Das widernatürliche (verkehrte) Ende aller Dinge, welches durch die falsche Autorität und mit der falschen Absicht den Endzweck künsterlich herzustellen sei, so warnt Kant, könne dies die christliche Wahrheit zerstören und den Grund der Religion verneinen. Daher kann man in der Kantischen moraltheologischen Interpretation zum Ende aller Dinge eine machtkritische Sinndeutung finden. Kant schreibt die transzendentale Möglichkeitsbedingung der Christlichen Eschatologie durch die praktische Annährung an das Ende aller Ding vor, dadurch formuliert er den Ansatz der transzendentalen Eschatologie. Kants Auffassung der christlichen Eschatologie kann daher als ethische Geschichtstheologie zur Begründung des Postulats des Fortdauers des moralischen Subjekts gezeichnet we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