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말론과 한국교회 (Eschatology and Korean Church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1.12
30P 미리보기
종말론과 한국교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1호 / 159 ~ 188페이지
    · 저자명 : 이오갑

    초록

    한국교회에서 종말론이 문제가 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 때문에 교회 내에서 많은 혼란들이 빚어지고 이단 시비가 끊이지않으며, 사회적으로도 크고 작은 물의를 일으킨다. 거기에는 여러 원인들이 있겠지만 일단 종말론이 난해한 교리라는 점에서 이유를 찾을 수있다.
    종말론의 가장 대표적인 텍스트로 간주되는 요한계시록이나 다니엘서 같은 묵시문학 저술들도 그렇고, 종말을 다루는 성서의 거의 모든부분들이 어렵다. 그 기록들은 복잡하고, 불일치하거나 서로 상반된 내용들을 담고 있다. 더군다나 거기에는 온갖 상징들이나 비유, 은어, 환상적 이미지에 대한 신비한 묘사들로 가득 차 있다. 그래서 여러 가지해석이 난무하고, 보고 싶은 대로 보고, 가져오고 싶은 것만 가져오는일도 비일비재하다. 어떤 데서는 문자적인 해석을 하고 또 어떤 데서는영적인 해석을 하며 그럴듯하게 짜 맞추어 사람들을 혹하게 만들어도 그게 왜 잘못되었는지 잘 모른다.
    종말론이 그렇게 어렵고 잘못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많은 교회들이 종말론을 위험하게 보고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종말론을 설교하면이상하게 보고, 어딘가 모르게 사이비 같다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또한현대사회에서 이성이나 과학이 점차 발달하면서 고대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는 종말론을 말하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도 작용한다. 그러면서 종말론은 교회의 설교나 가르침에서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있다.
    그런데 그와 반대로 오히려 교회 주변부에서는 종말론에 강한 호기심을 가지고, 그것만 설교하며 거기에 열광하는 경향도 있다. 종말론은어떻게 보면 신학적이거나 인문학적인 소양이 부족한 사람들에 의해,아니면 미래나 사회 변화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하고 참여하기보다는불안과 공포로 반응하는 사람들에 의해 점유됨으로써 문제가 더욱 증폭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사실 종말론은 기독교에서 매우 중요하고, 거의 본질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교리이다. 물의를 일으키는 사람들이 많다고 해서, 또는 현재 과학적 세계관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낯선 것이라고 해서외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기독교의 진정한 종말론이 무엇인지, 어떤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인들의 신앙과 삶에 어떤 도움을주는지 잘 설명함으로써, 그것을 기독교의 선포와 영성, 신학의 중심으로 다시 들여와야 할 것이다. 즉 현재 한국교회들이 종말론과 관계해서가지는 많은 문제점들은 종말론을 배제하거나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적극적으로 해석해서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가 되어야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종말론이 무엇인지 그 대표적인 것들을 중심으로살펴보며, 특히 종말론이 한국교회와 교인들에게 어떻게 유익한지, 그들이 갖고 있는 중요한 문제점들에 대해서 어떤 대답이 되는지를 본다. 그럼으로써 종말론이 교인들의 신앙과 삶을 건강하고 바르게 이뤄나가는데 도움을 줄뿐더러, 한국의 교회와 더 나가서는 사회와 문화가 안고있는 많은 문제점과 폐단을 극복하고 새로운 교회와 문화를 창조하는데도 필요한 교리라는 점을 밝힌다. 그렇게 될 때, 종말론은 이제까지와는 다르게 한국교회들이 진정한 교회로 거듭나고, 그럼으로써 사회와문화의 갱신에도 봉사하고 역할을 하는 매우 참신하고 중요한 교리로새롭게 자리매김을 하게 될 것이다.
    그를 위해 필자는 우선 다음의 세 가지 점을 전제한다.
    첫째는 종말론은 하나가 아니라는 점이다. 흔히 사람들은 미래적이고 묵시문학적인 종말론을 전부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현재적종말론도 있고, 이 세상적 종말론이나 저 세상적 종말론, 물질적 종말론, 영적 종말론, 집단적 종말론, 개인적 종말론, 실존적 종말론 등 매우다양한 종말론들이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그 모든 종말론은 나름대로다 이유를 가지고 있고 정당성을 가지고 있어서 틀린 것이 아닐뿐더러,기독교의 영적이고 정신적인 자산으로서 모두 존중되고 받아들여져야하며, 또 선포되어야 한다.
    둘째, 종말론은 어떤 것이든 시대적이고 상황적인 맥락을 고려해서선택적으로 주장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어떤 종말론이든 다 정당하고가능하지만, 그 상황에 맞게 선포될 때만 그렇다. 달리 말해서 그 상황과 맞지 않거나 반대되는 상황에서 선포되면, 아무리 좋은 종말론도 잘못된 결과를 가져온다는 뜻이다. 그래서 종말론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상황을 정확하게 읽고 판단하는 안목도 중요하다. 지금 공동체가 어떤 상황에 있는지, 그로 인해 사람들이 어떤 고통을 당하며, 어떻게 잘못되어 가는지를 보고, 그것을 극복하고 해결할 수 있는 종말론을 적절하게 가져와야 한다.
    셋째, 그래서 각각의 종말론은 구체적인 상황과 짝을 이룬다는 점이다. 그 짝이 되는 상황과 함께 종말론을 살펴볼 때 잘 이해할 수 있고,동시에 상황에 대해서도 종말론이 올바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그것은종말론이 형성될 때부터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역사의 현장에서, 백성들의 영적이고 신앙적인 위기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들을 구원하기 위해서 주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리가형성되었을 때의 상황을 찾아야 하고, 그리고 그 교리는 그와 같으면서그러나 현재의 새로운 상황에 접목되고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Eschatology is not one. Frequently those who believe the eschatology are apt to assume that the futuristic and apocalyptic eschatology is all. But there are many sorts of eschatology, For instance, realized and present eschatology, worldly or otherworldly eschatology,material or spiritual eschatology, collective or individual eschatology,existential eschatology etc.. In my opinion each of this eschatology has a reason and legitimacy, except extremely literal, spiritual or arbitrary interpretation. So we can select and preach certain eschatology while acknowledging all of that eschatology as spiritual property of Christianity.
    So it is important to select certain eschatology according to its original context. We can choose any of them, but it should be based on condition that we proclaim according to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if we adapt certain eschatology which is different or contrary circumstances, it will have a wrong or meaningless message. This is because that each eschatology makes a pair with concrete situation of the church in which it is proclaimed. We always have to consider that any eschatology with its contextual pair. Only in this case, we can correctly understand eschatology, and this eschatology also can be a means to set an issue which matters for the existence of actual churches and society.
    In such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 many kinds of eschatology in the context of Korean churches so that these churches will be able to solve their actual problems of spiritual and psychological crisis caused by the anxiety about certain natural catastrophes, radical social changes, economic problems, dark future etc. with proper eschatology corresponding to each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