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SNS에 공유된 카페 포토존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Cafe Photo Zone on SNS : Focusing on Instagram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2.09
11P 미리보기
SNS에 공유된 카페 포토존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 70호 / 77 ~ 87페이지
    · 저자명 : 박신영, 김두한, 윤재영

    초록

    오늘날 사용자들은 자신이 무엇을 보고 듣고 먹는지 사진을 찍고 인스타그램 피드에 올려 공유하면서 타인과 소통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긴다. 이에 상업 공간을 연출할 때 사용자가 방문하여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의도된 구조물을 제작하여설치하거나 공간의 심미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포토존'을 마련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를 수 있는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하나의 연출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 도구로 ‘썸트렌드’를 활용하여물리적인 공간 중 ‘카페’를 ‘포토존’과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 ‘연남동’ 일대의 카페 5곳을 선정하여 분석하여 업계 흐름을 알아보고 FIG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포토존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이미지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요소는 공간구성, 가구와 오브제, 조명, 색채 총 4가지로 도출하였다. 이미지는 복수 체크 되었고 카페 5곳중 3곳이 가구와 오브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텍스트에 나타난 카페 공간 특성은 힐링의 공간, 경험 공유의 공간, 문화/가치표현의 공간으로 3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기준으로 피드에 공유된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5곳의 카페중 3곳이 경험 공유의 공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뷰 실험자가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한 카페 게시물은 주로 음식을 비롯하여 매장 내 소품, 가구 등 오브제를 배경으로 하거나 테라스, 창문을 배경으로 하는 인물사진을 위주였으며 SNS 공유의목적이 개인의 정체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포토존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생명력 있는 상업 공간 계획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t’s quite natural for users in these days to take photos of what they see, listen, and eat and upload them on their Instagram feed to communicate with others. Some commercial spaces have set up ‘photo zone’ by installing a few structures or giving aesthetic impression in the space when designed, so that users can visit and take photos. It’s one of the ways to create or decorate sustainable space to satisfy people online and offline. Thus, this study aimed to select and analyze five cafes situated at Yeonnam-dong, stay on top of business trends, and conduct FIG interview to find out the photo zone preferred by users, especially through ‘Sometrend’ as a text mining tool, given that ‘the cafe’ was most involved with ‘the photo zone’. Firstly, the research findings came up with four elements in design expression shown in the image: space organization, furniture and objects, lighting, and colors. Images were counted plurally and three cafes from fives showed high percentage in the furniture and objects. Secondly, there’re three features of cafe as suggested in the text: space for healing, space for sharing experiences, and space for culture and value expression. A total of three cafes turned out to be spaces for sharing experiences from five cafes, when analyzing text shared on the feed based on features above. Thirdly, the cafe post uploaded on Instagram by interviewees were mostly food photo or portrait photo taken against objects in the cafes like props and furniture, or terrace and window; and it turned out the purpose of sharing images on social accounts was related to personal identity. It’s expected to see this study could help understand user’s needs on the photo zone and contribute to planning the lively commercial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