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술의 고전 읽기와 창의성 교육 - 존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를 중심으로 (Reading Art Classic and Creativity Education - Focusing on John Berger’s Ways of See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9.06
29P 미리보기
예술의 고전 읽기와 창의성 교육 - 존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 리터러시 학회
    · 수록지 정보 : 리터러시 연구 / 10권 / 3호 / 215 ~ 243페이지
    · 저자명 : 이경희

    초록

    본 논문은 예술 영역의 작품인 존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 주제적 측면을 분석하고, 이미지를 활용한 창의성 교육방법에 대한 구상을 제시한 것이다. 『다른 방식으로 보기』의 중심주제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대상이나 시각적 이미지를 바라보는 사회의 관습적 시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보는 방식’의 다양성의 의미를 강조한다. 특히 버거는 전통적 미술비평의 단일한 시각 속에서 생겨난 과거 미술의 신비화를 비판하고, 복제 예술의 등장으로 인해 대중의 예술작품 향유와 작품해석의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여성을 대상화 하는 누드화의 관습을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현대 이미지 시대의 문제에 대한 성찰로서, 특히 소비사회의 광고 문화에 대한 비판이다. 버거는 대중의 물질적 욕망을 자극하고 현실의 주요한 문제점을 은폐하는 광고의 기능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는 많은 시각적 이미지를 수록하고 있으므로, 이미지를 활용한 토의와 글쓰기를 통해 창의성 교육, 즉 비판적, 창의적 사고와 상상력 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 시각적 이미지의 활용은 ‘보는 것’이 ‘아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범람의 시대에 학생들에게 익숙한 지각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사고력, 상상력의 배양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적 구상으로 할스의 그림을 자유롭게 해석하기, 마그리트의 <꿈의 열쇠>에 나타난 이미지를 새롭게 정의하기, 이미지를 결합한 자유 에세이 작성하기, 고전회화를 인용한 광고비평문 작성하기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는 학생들의 읽기와 생각하기, 말하기와 글쓰기 활동을 연결하여 이미지 해석능력,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능력, 상상력을 배양하기에 효과적인 텍스트로 간주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John Berger’s Ways of Seeing, an art classic, focusing on the thematic aspects and further presents an instruction plan for creativity education using visual image. There are three themes in Ways of Seeing. First, it questions the society’s conventional gaze toward an object or visual image and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diverse ways of seeing. Particularly, Berger criticizes mystification of past arts, which is caused by traditional art criticism’s singular viewpoint, and positively evaluates how reproduction of art enabled public’s appreciation of artworks and diverse interpretation on them. Secondly, Berger condemns the convention of objectifying women in nude painting. Lastly, he reflects on problems of the modern image era, criticizing the advertisement of consumer society. Berger problematizes function of advertisement which arouses public’s material desires and conceals important problems in the reality.
    As Berger’s Ways of Seeing includes many visual image, it is possible to perform creativity -that is, critical/creative thinking and imagination- education through discussions and writings using visual image. Utilization of an image is based on the use of familiar perceiving method to students, who are living in the era of image inundation, where ‘seeing’ directly affects ‘knowing.’ Interpreting Hal’s painting, redefining image in Magritte’s Key to Dreams, writing a free topic essay using image, and writing critical essays on advertisement are the examples. In conclusion, Berger’s Ways of Seeing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text to cultivate students’ visual image interpretation ability,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nd imagination through reading, thinking,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리터러시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