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이주 조선족의 집거지와 민족간 관계에 관한 연구: 로스앤젤레스 코리아타운을 사례로 (Immigrant Community and Ethnic Relations of Korean Chinese in Los Angeles, US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6.08
16P 미리보기
미국 이주 조선족의 집거지와 민족간 관계에 관한 연구: 로스앤젤레스 코리아타운을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시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9권 / 2호 / 75 ~ 90페이지
    · 저자명 : 이영민, 이은하

    초록

    본 연구는 미국으로 유입된 조선족 이주자들이 기존에 형성되어 있던 로스앤젤레스 코리아타운 내에 정착하여 어떤 차별적인 민족경관을 만들어가는지를 한국인 및 중국인 비조선족 이주자들과의 민족간 관계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조선족은 중국의 동북지역에 정착한 과계(跨界)민족으로서 80년대 이후 중국의 다른 국내 지역은 물론이고, 한국을 비롯한 국경 너머 외국 지역으로 활발하게 이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진출하여 살아가고 있는 조선족이주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과거에는 한반도에서 중국 동북지역으로, 지금은 다시 미국으로 국경을 가로질러 이주해간 조선족은 새로운 국가의 정주지역에서 변용된 민족성을 만들어가고있다. 불법 혹은 서류미비 체류자의 비율이 매우 높은 조선족 이주자 집단은 정치적으로는 중국 국가 정체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자신의 민족적 뿌리인 한반도의 분단 상황을 적극 활용하여 미국에서의 합법적 체류자격을 취득하고 자신들의 다중적 정체성에 기반한 행위주체성을 발휘해가고 있다. 이러한 특수한 정체성을 형성해 가면서 조선족 이주자들은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코리아타운과 차이나타운을 연결시켜주는 촉매역할도 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socio-spatiality of ethnic landscapes constructed by Korean-Chineseand ethnic relations by the various groups of immigrants around Los Angeles Koreatown and Chinatown. Asa transnational ethnic group living in the northeastern part of China, the Korean-Chinese has made themselvesemigrating into the other parts of China and out to the foreign countries at larger scale since 1980s. Focusingthe Korean-Chinese migrants in Los Angeles, USA, this study traces the transformation of their ethnicity interms of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s with the groups of Korean migrants, Chinese migrants,and the mainstream society. The Korean-Chinese migrant group shows higher percentage of illegal orundocumented migrants than any other migrant groups, and thus makes an sincere efforts to legal status ofimmigration visa. This efforts often lead them to make active use of the political division of the Koreanpeninsular because the US government is very much willing to give the refugees out of North Korea theasylum visa. This kind of liminal positionality has been utilized as a survival strategy in the new destinationof the USA and has developing into multiple and flexible identities. In this regards, they often play roles oflinking the spaces of Koreatown and Chinat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시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