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내 조선족 부엌문화의 전통과 변화 -한국인 · 한족 문화의 영향을 생각하며- (Traditions and Changes of the Kitchen Cul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Thinking of the Influence of Korean and Han Chinese Cultur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9.04
26P 미리보기
중국 내 조선족 부엌문화의 전통과 변화 -한국인 · 한족 문화의 영향을 생각하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68호 / 69 ~ 94페이지
    · 저자명 : 박선미

    초록

    이 연구는 중국 내 조선족 부엌문화의 전통과 변화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조선족의 부엌문화는 한국인의 전통을 지속하는 것, 한족의 영향을 받아 수용한 것과 변용한 것 등으로 구분되었다. 부엌의 구조는 한국인의 부엌문화 전통을 지속하면서도 중국의 자연환경에 조응한 함경도식 형태이며, 중국 국가정책에 따라 가옥구조가 변화되면서 부엌구조도 바뀌었다. 한국인과 한족의 전통 부엌은 독립된 공간으로 이루어졌으나 조선족 부엌은 정지와 정지간으로 이루어진 실용적인 공간으로서 취사․식사․난방․취침 등의 다용도로 기능했다. 이러한 조선족 부엌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된 요인으로는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산아정책제한, 주택개량사업 등을 꼽을 수 있다.
    조리도구와 조리법의 변화에 있어서는 한족의 문화적 특성을 수용하되 ‘전병가마’와 같이 조선족 부엌문화의 특성에 맞춰 변용한 부분도 포착되었다. 조선족식 전병가마의 도입으로 식단에 볶음채가 자주 등장하는 식생활을 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여러 종류의 음식을 한 번에 조리할 수 있으며, 집안에 서린 김도 잡아주었다. 또한 조선족식 음식저장소는 한족의 ‘움’ 형식에 한국인이 땅 속에 장독을 묻어 보관하는 형식을 결합한 형태로 존재하며, 오늘날 조선족을 대표하는 문화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traditions and changes of the kitchen cul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kitchen cul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can be classified into a continuation of Korean tradition and an acceptance and change of Han chinese influence. Kitchen structures, while continuing Korean kitchen culture traditions, are in the form of Hamkyong Province style houses correspondi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of China and as housing structures changed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ies of China, kitchen structures changed as well.
    The kitchen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kitchens of the Koreans and the Han chinese, which were independent spaces, were practical spaces consisting of an area that combined the living room and kitchen and they could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such as cooking, eating, heating, and sleeping. Factors for such changes in the kitchen structure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clude the birth control policy of China after reform and opening up and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With regard to changes in kitchen tools and cooking method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n people were accepted but there were some transformations made to suit the kitchen culture characteristic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such as the ‘junbyeong gama(pancake kil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Chinese style junbyeong gama(pancake kiln), stir-fried dishes often appeared in meals, cooking times were shortened, and steam that filled the house was reduced. Also, food storage rooms exist in a form that combines the ‘Um(cellar)’ form of the Han chinese and the buried crock style of the Koreans and this has taken its place as a culture that represents Ethnic Koreans in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