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조 후기 북경의 만주족 문화와 그 정체성 찾기 (Finding the Manchu Culture and Its Identity in Beijing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3.05
38P 미리보기
청조 후기 북경의 만주족 문화와 그 정체성 찾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91호 / 41 ~ 78페이지
    · 저자명 : 정은주

    초록

    본문에서는 청조 후기 북경에서 만주족의 정체성과 관련된 주요 특징을 네 가 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청조의 사료와 조선 사신들이 남긴 연행록 을 비교 분석하여 청조가 만주족으로서 자신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려 노력 한 실상과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첫째, 청조를 건설하는데 군사적 토대가 된 팔기의 旗人을 북경 내성을 분할하 여 거주하게 하고 기존 한인을 외성으로 축출하여 分城 정책을 추진하였다. 분성 정책의 추진은 만주족과 몽고족을 황성 가까이 거주하게 하여 황실의 안위를 도 모하는 한편, 다수의 한족으로부터 분리시켜 갈등을 완화하고 만주족의 전통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이기도 하였다. 또한 입관 후부터 청의 역대 황제들은 종실 및 특히 한군 기인의 滿語와 騎射의 쇠락, 漢書에 편향된 학습으로 한족 문화에 동화하는 경향을 경계하였다.
    둘째, 황실에서 시행한 堂子 제사는 만주족 특유의 샤머니즘에서 유래한 것이 다. 조선 사신들은 정월 초하루 조회 대전에 앞서 만주족 百官을 대동하여 당자 를 왕래하는 청 황제의 어가 행렬을 맞아 祗送하거나 祗迎하였는데, 당자제사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자제사 중 조선인들의 관심사는 尚錫神亭(上神殿)에 봉안한 신으로, 대부분 명나라 장수 鄧佐나 劉綎의 사당으 로 인식하였으나 청 사료에 의하면 명나라 부총병 鄧子龍의 사당으로 누르하치 와의 舊誼를 위해 청 황실의 당자에 그의 사당을 세운 것이었다.
    셋째, 북경의 南苑은 南海子로 더 잘 알려졌는데, 요·금·원·명·청대까지 황제의 御苑이었다. 이곳은 강희연간부터 승덕의 피서산장에 조성한 목란위장이 설립된 후에도 황제가 閱兵 의식과 사냥을 통해 팔기군에게 騎射와 尙武 정신을 고취시키던 곳이자 황가의 말을 관리하는 곳이었지만, 상대적으로 학계에 조명 받지 못하였다.
    넷째, 태액지에서 동지를 즈음하여 열리던 冰嬉는 요동 太子河에서의 빙상경 기를 계승하여 건륭연간 大典으로 격상되어 북경의 서북쪽 태액지 남해에서 펼 쳐져 청조 만주족의 유풍을 가장 잘 보여주는 연희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네 가 지 특징은 청이 북경으로 천도하면서부터 청의 만주족 문화가 한족 문화에 동화 되거나 현실에 안주하려는 경향을 경계하고 그들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노력의 산물이었으나, 그마저도 19세기 후반에는 쇠퇴하고 만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records of Joseon envoys and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Qing Dynas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 culture of the late Qing Dynasty.
    First, the Qing Dynasty promoted the policy of the establishment of allowing the upper class of the Eight Banners, which became the military foundation for its construction, to live inside Beijing, and expelling the existing Han Chinese to the outside Beijing. On the streets of Beijing, Joseon envoys were able to witness a servant following a government official and even a low-ranking soldier riding a horse without walking. In addition, the role of interpret- ers of Manchu language, among the Korean officials, emerged in diplomatic relations, as documents and the language communicated by the Ministry of Rites of Qing Dynasty and Joseon envoys.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Manchu language, riding horses and archery, emphasized by the Qing emperors.
    Second, the ritual to Tangzi for the imperial family originated from the shamanism unique to the Manchu people. On the first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the Joseon envoys politely welcomed the emperor’s procession going toward Tangzi, east of Yuhe Bridge out- side, the Changan Zuo-mun. The Korean people recognized that the god enshrined in the shrine Shangxishen-ting(尚錫神亭) was the Ming general Deong Zuo(鄧佐). However, according to Qing sources, the shrine was which Qing imperial Nurhachi built for the Ming dynasty’s general Deong Zilong(鄧子龍). Third, Beijing’s Nanyuan(南苑), was a imperial forest of the emperor until the Liao, Jin, Yuan, and Ming Dynasty. The Spring hunting at Namwon was smaller than the Fall hunt- ing at Mulanweichang(木蘭圍場), but the Qing emperor performed the ritual of military parades and encouraged the imperial family to learn how to hunt, or led the nobles, officials and Mongolian royal family to hunt frequently. Through this, the Qing emperors sought to promote the tradition and spirit of the Manchu people and maintain a strong military power.
    Fourth, the military training on ice(冰嬉) was held in the southern part of Taiyechi in Beijing around the winter solstice to show the unique customs of the Manchu people of the Qing Dynasty. After the Emperor Qianlong, the military training on ice was regarded as Qing’s national custom, and he tried to show off their military prowess in front of the for- eign envoys, including Joseon envoys. The above were the result of the efforts to preserve the identity of the Manchu people as the culture of Qing was assimilated into the culture of the Chinese or the tendency to settle down to reality gradually prevai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