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적 자치 v. 규제주의-‘조합의 임의탈퇴’(민법 제716조)에 대한 우리 민법 및 일본 민법의 태도를 중심으로. 로마법과의 비교 - (Private Autonomy v. Regulative Intervention of the State- Exemplified by a Renunciation of Partnership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7.06
56P 미리보기
사적 자치 v. 규제주의-‘조합의 임의탈퇴’(민법 제716조)에 대한 우리 민법 및 일본 민법의 태도를 중심으로. 로마법과의 비교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58권 / 2호 / 1 ~ 56페이지
    · 저자명 : 최병조

    초록

    로마법에서 조합원 1인의 해지는 항상 조합 전체의 해산을 초래하였다(파탄주의). 우리 민법은 1인의 탈퇴로 조합 전체가 해산하지 않는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있으면 각 조합원은 조합 전체의 해산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민법 제720조). 이 경우에 ‘부득이한 사유’는 일단 조합의 해체를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규제주의). 로마법상으로는 각 조합원의 해지 및 그에 따른 조합 전체의 해산이 부득이한 사유없이 항상 인정되었던 것과 크게 다른 점이다. ‘부득이한 사유’의 규제를 통하여 우리 민법은 조합의 존속을 가급적 유지하기로 정한 것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임의규정이기 때문에 종국에는 그다지 심각한 것으로 볼 수 없을지도 모르겠다. 역사를보면, 로마법의 원형을 제외하면 후대의 법질서들은 법관에게 조합 해지의 요건인‘중대한 사유’에 대한 판단을 맡겨 왔다. 조합의 경영, 그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그지속 여부에 관하여 당사자들의 사적 자치적 결정보다 이러한 개입주의적 판단이더 우수할 것이라는 확증은 어디에서도 제시되지 않았다. 아마도 앞으로도 제시되지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법관들이 경영과 관련한 사실 판단을 당사자들보다 더 잘 한다는 보장은 결코 일반적 법리로 확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법관에게 이러한 사실 판단까지를 맡긴 이유는 합리적으로 생각할 때 사실 판단을 위한 모든 자료가 현출되고 이해당사자의 주관적 이해로 인하여 왜곡되지 않은 공정한 객관적 판단이 가능한 장(場)은 그래도 역시 법정이라는 인류의 장구한 경험이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단체성의 차원에서 로마법의 태도와 우리 민법의 태도 중 어느 것이 과연더 합당한가? 문제는 일률적으로 답할 것이 못 된다. 왜냐하면 실생활에서 조합의모습은 각양각색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이러한 다양다종의 모습을 띨 수 있는조합을 하나의 규범적 잣대로 재단하는 것이 항상 타당할지 의문이다. 로마의 조합처럼 통상 소수 인원이 동업하는 형태의 계약관계일 때에는 우리 민법과 같은 규율은 그다지 합당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예컨대 오늘날의 아파트재건축조합처럼 조합의 규모가 크고 조합원 상호간에 신뢰관계는커녕 단순한 안면조차 사실상 거의트고 있지 못하고, 또 많은 경우 특별법에 의하여 규율되는 조합의 경우에는 그 ‘단체’ 로서의 성격을 부정하는 것이 오히려 사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결과일 수가 있다. 우리 민법이 로마법이 구사했던 용어와 개념을 사용하면서도 공유 대신 합유를규정하는 등으로 다른 구조로 조합의 법리를 구성한 것은 입법적인 결단이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조합원들의 출입을 규제함으로써 조합의 존속을 유지하는 쪽으로정한 것도 입법의 정합성이라는 차원에서 일응 수긍되는 바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조합으로부터의 이탈의 문제는 그 단체성과 필연적으로 연계된 문제는 아니라는 점이다. 단체성을 인정한다고 해서 반드시 조합원의이탈을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 한하여 인정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탈을 자유롭게 인정한다고 해서 나머지 조합원들 사이의 단체로서의 조합이 그 존속 면에서 보호받지 못하고 방치되는 것도 아니다. 이 두 문제가 서로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은, 사단법인이 사원의 이탈이 자유롭다고 해서 그 단체성이 달라지는 것이 아닌 점이나, 또 역으로 로마법이 이탈의 자유로 인하여 조합의 존속이 불가능하게 되더라도 오히려 이탈의 자유를 인정했던 것을 상기해 보아도 이 점은 분명해진다. 결국 조합으로부터의 이탈의 자유를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입법정책에 의한다.
    각국의 법제가 비슷한 듯하면서도 서로 다른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이 점에서 로마법이 사적 자치를 최대한 허용한 것이라면, 그리고 이탈자에게 책임을 추궁함으로써(오늘날 채권법의 추세가 지향하듯이) 책임법적인 접근을 통하여 간접적인 규제를가한 것이라면, 우리 민법은 상대적으로 더 직접적인 개입주의적 입장에 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민법 제719조는 그에 따른 후속조치를 규정한 것이다. 조합의 해지와 관련한 두 법제의 차이는 법이란 技術的 측면과 理念的 측면이 불가피하게 교착되어 있는 현상이라는 점을 증거하는 하나의 좋은 예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Roman law, a withdrawal (renuntiatio) from partnership (societas) by one of the partners brings about the termination of the partnership in any way. In Korean law, a withdrawal of a partner leaves the partnership as such intact. § 720 Korean Civil Code (KCC) provides, like Japanese law, French law, and German law, that a partner may move for a dissolution of the partnership only if there is just cause. Just cause, to which a misunderstanding of Roman law gave rise since the Byzantine times, is surely deemed to function as a hindrance against an easy dissolution of the partnership. Roman law is fundamentally different in that it is always possible to dissolve a partnership by one of the partners renouncing without any cause whatsoever. With the prerequisite of just cause, Korean law votes for the duration of a partnership if any, and commits the judgement of whether it exists or not to the objective third party outside of the partnership, i.e., the court. It seems ostensibly not so serious as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KCC are only dispositive clauses to which special stipulations of the partners have legal priority. Presumably, the difference between Roman law and the later laws may be explained by the change of the judicial system from the Roman formulary procedure with an iudex as an ad hoc judge selected from the populace to the bureaucratic procedural system with a standing professional judge to whom enough competence for everything and objective fairness are credited ever since.
    Evidently, it is not wise to decide uniformly on the corporate character of partnerships. For there are various forms of partnership in reality. It seems rather unreasonable to apply such legal rules as the KCC has on the Roman partnerships which are pure contract relations between two partners or among partners of minor number. On the contrary, it is apparently somewhat reasonable to acknowledge a corporate character for the large-scale partnerships like Apartment Rebuilding Societies of today, members of which do not know each other at all or only casually.
    It is, therefore, a legislative decision to construct partnerships as they are constructed today, different from Roman societas even though using Roman concept and terminology. A decisive step is to take up for partnership property the German concept of Gesamthand (jointly held property) instead of Japanese Miteigentum (co-ownership) which follows the Roman model faithfully (§ 704 KCC). It deserves to be mentioned that the KCC shows in that point a certain degree of consistency.
    However, the issue of withdrawal from partnership is not necessarily inferred from the issue of corporateness of a partnership. A corporate partnership may permit a partner’s withdrawal without any necessary or just cause. A free withdrawal does not mean that it endangers the concerned partnership in its corporateness and duration. These two issues are irrelevant. For an association with a free entry of members preserves its legal personality, and a Roman societas allows a free withdrawal even though it ceases to exist if a partner does opt for that. After all, it is a legal policy to decide how to regulate the issue of free or restricted withdrawal from partnership. Of course, every legal order differs in that point, frequently seeming similar but in fact different in detail.
    The basic attitude of Roman law is to allow private autonomy as much as possible and to make the withdrawer (qui renuntiavit) liable for the damages incurred from that act to the rest of the partners. This sanction does correspond to the tendency of today toward the law of obligations more and more resorting to imputation of liability as a more viable method of solving legal problems rather than prescribing more or less apodictic rules which leave less room for private autonomy. On the contrary, the KCC takes it for granted to regulate partnership rela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allegedly paternalistic intervention of the court. § 719 KCC provides with ensuing measures. Differences between Roman law and Korean law or Japanese law in terms of withdrawal prove clearly that law is a field where techniques and ideas are necessarily interlaced with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