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무양태 조동사의 부정형식에 대한 비대칭 현상 연구 - 언어유형론적 관점과 통시적 관점의 통합 (A Study on the Asymmetric Phenomenon in the Negative Forms of Deontic Modal Auxiliari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4.12
31P 미리보기
의무양태 조동사의 부정형식에 대한 비대칭 현상 연구 - 언어유형론적 관점과 통시적 관점의 통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98호 / 147 ~ 177페이지
    · 저자명 : 서지은

    초록

    현대중국어에서 ‘不要’, ‘不须’, ‘不用’은 모두 ‘필요’를 나타내는 의무양태 조동사의 부정형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不须’, ‘不用’이 ‘면제’의 의미를나타내는 것과 달리, ‘不要’는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不要’의 ‘금지’ 의미가 ‘면제’로부터 화용적인 맥락의 영향을받아 의미가 강화되면서 발달한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不必’와 같이 ‘면제’ 의미를 나타내는 다른 형식도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관점은 왜 유독 ‘不要’만이 ‘금지’의 의미로 발달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본 연구의 통시적 고찰에 의하면, 현대중국어와 달리 고대중국어에서 ‘不要’, ‘不须’, ‘不用’은 모두 ‘면제’, ‘금지’뿐만 아니라 ‘불허’의 의미도 나타낸다. 특히‘不要’는 ‘불허’와 ‘금지’ 두 의미에서 모두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이며, ‘不须’, ‘不用’은 ‘면제’의 의미로 더 자주 사용된다. ‘不要’의 ‘금지’ 의미는 바로 이 ‘불허’ 의미에서 발달했을 가능성이 높다. 현대중국어에서 ‘不须’, ‘不用’이 더 이상‘금지’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고대중국어 시기에 ‘불허’, ‘금지’의 출현 빈도가 낮았기 때문이며, 또 ‘不必’가 ‘금지’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이유는 ‘불허’ 의미가 부재했기 때문이다. ‘불허’ 의미는 부사가 아닌 조동사의 부정형식에서만 나타난다.
    언어유형론적 고찰에 따르면, 조동사 가운데 ‘필요’를 나타내는 의무양태 조동사의 부정형식이 ‘불허’를 나타내는 현상은 중국어에만 국한된 특수 현상이아닌 범언어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이다. 이것은 부정사의 위치와 작용역 간의 불일치 현상을 반영한다. 부정사의 위치와 작용역 간의 불일치는 부정사의 위치가 고정되면서 만들어진 결과이다. 부정사의 위치 고정은 자립성 약화에 따른 결과이며, 부정사의 자립성 약화는 문법화에 따른 결과이다. 문법화는 연속변이의 과정에 해당하기 때문에, 부정사 가운데는 단어와 접사의 중간범주적 성격인 접어에 해당하는 경우도 다수 존재한다. ‘不’ 역시 그 성격이 접어에 가깝다.
    부정사의 위치 고정은 이에 인접한 단어와의 결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융합(fusion) 현상을 초래한다. 현대중국어에서 부정사의 위치와 작용역 간의 불일치를 보이는 대표적인 형식으로 의무양태 조동사의 부정형식인 ‘不要’와 인식양태 조동사의 부정형식인 ‘不会’가 있는데, 이들 모두 합음자의 형성과 문법적지위의 상승 두 가지 측면에서 융합 현상을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In Modern Chinese, the expressions bu yao(不要), bu xu(不须), and bu yong(不用) all represent the negation of modal auxiliaries denoting necessity.
    However, while bu xu and bu yong indicate ‘exemption’, bu yao conveys ‘prohibition’.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meaning of ‘prohibition’ in bu yao developed pragmatically from the meaning of ‘exemption’. However, considering that other forms such as bu bi(不必) also express ‘exemption’,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y only bu yao developed the meaning of ‘prohibition’.
    This study,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finds that in Classical Chinese, b u yao, bu xu, and bu yong all conveyed not only ‘exemption’ and ‘prohibition’ bu t also the meaning of ‘impossibility’. Bu yao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 ence in both ‘prohibition’ and ‘impossibility’ meanings, while bu xu and bu yong were more frequently used to indicate ‘exemption’. This suggests that the ‘prohi bition’ meaning of bu yao developed from the ‘impossibility’ meaning. The absen ce of the ‘impossibility’ meaning in bu bi explains why it does not carry a mean ing of ‘prohibition’.
    The phenomenon in which the negative form of a deontic modal auxiliary i ndicating necessity expresses ‘impossibility’ is a cross-linguistic phenomenon. T his arises from the mismatch between the position of the negative element and its scope. This results from the fixation of the negative element’s position, whic h in turn arises from the weakening of its autonomy due to grammaticalization.
    The fixation of the negative element’s position leads to a fusion phenomenon. In Modern Chinese, representative forms that exhibit a mismatch between the posit ion of the negative element and its scope include the negative forms of deontic modals such as bu yao(不要) and epistemic modals such as bu hui(不会). Both of these forms exhibit fusion in terms of both the formation of portmanteau for ms and the elevation of their grammatical sta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