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민국 정부 수립기의 뉴스영화에 관한 고찰-<前進朝鮮譜>와 <전진대한보>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Newsreel in the Establishment Era of Korea Government-Focusing on ,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0.06
42P 미리보기
대한민국 정부 수립기의 뉴스영화에 관한 고찰-&lt;前進朝鮮譜&gt;와 &lt;전진대한보&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105호 / 181 ~ 222페이지
    · 저자명 : 김정아

    초록

    이 글에서는 1947년 11월 미군정기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까지의 남한 현대사를 동영상으로 기록한 뉴스영화 <前進朝鮮譜>와 <전진대한보>를 최초로 자세히 소개하였다. 뉴스영화는 해방시기 제작과 검열을 담당한 미군정과 대한민국 정부가 대중에게 기억시키고자 했던 시대의 이념과 기억을 담고 있는 영상사료이다. 제작 의도에 맞게 찍은 영상과 함께 카메라에 담긴 영상에서 새로운 사실을 만날 수도 있고, 역사 연구 축적으로 밝혀진 새로운 진실들을 적용하면, 제작자의 의도가 담긴 아나운서의 내레이션이 전달하고자 한 기억과 영상 너머의 사실을 만날 수 있다. 이 뉴스영화에는 종로의 초등학교 개학식과 명동성당, 서울대학교 졸업식, 반도호텔, 중앙청 등 해방기 서울의 모습도 담겨있다.
    이 글에서 주요한 장면으로 소개하고 있는 영상기록은 미군정에서 대한민국정부로의 이양 과정 등 1948년 전후의 남한 현대사이다. 5.10 총선, 제헌국회 개원식, 초대 대통령 선거 등을 생생한 현장음과 내레이션으로 소개하고, 이승만의 육성과 내레이션이 담고 있는 의미들을 재해석했다. 한미협정, 제주 4.3사건 관련 영상들은 역사 연구들을 토대로 영상 너머의 사실들을 밝히고 진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조선인민이 대한민국 국민이 된 상황을 런던올림픽 출전선수들을 통해 보여주고, 해방시기 천주교와 관련된 뉴스와 그 영상에서 의도하지 않게 촬영된 서거 10여 일 전 백범의 쓸쓸한 모습도 소개하였다.
    <前進朝鮮譜>와 <전진대한보>는 해방시기 미군정에서 대한민국 정부로 이양되고 한국전쟁이 발발하는 시기의 남한 현대사 현장을 생동감 있게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에게 전체가 소개되지 않고 있어 전체 내용을 각 호수별로 제목 자막을 표로 만들어 소개하였다. 그중 역사 현장의 생생한 기록과 영상 너머의 진실이 숨어있는 영상기록을 뽑아서 자세히 들여다보았다. 그리고 역사 연구의 축적으로 새롭게 해석될 수 있는 영상을 골라 미군정과 대한민국 정부가 직접 제작하고 검열한 뉴스영화를 통해 국민들에게 전달한 기록, 기억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irst introduced the newsreel <Junjinchosunbo>, <JunjinDaehanbo> which recorded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until 1950 when the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during the U.S. military regime in November 1947 and the Korean War broke out in detail.
    Newsreels are 'visual historic materials'.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authorities and the Government of Korea in charge of production and inspection during Liberation Period used them to make the public remember the ideas and memories of the era. You can meet new facts in the films taken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roduction, and if you apply the new truths that have beed revealed in the accumulation of historical research, you can meet the historical memory that the narration of the announcer with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 wanted to convey and the truth beyond.
    The newsreels also feature the opening ceremony of Jongno's elementary school, Myeong-dong Catholic church, Seoul National University's graduation ceremony, Bando hotel and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video record, which is introduced as a major scene in this article, is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around 1948, including the transition from the USAMGIK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t introduced the 5.10 general elections, the opening ceremony of the Constitution National Assembly and the first presidential election with vivid on-site sounds and narration, and reinterpreted the meanings of Rhee's fostering and narration. Videos related to the Korea-U.S. agreement and Jeju 4.3 incident were intended to reveal the truths over the video based on historical studies. It showed the situation of the North Korean people becoming the South Korean people through participants in the London Olympics. And it introduced the news related to Catholicism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unintentionally filmed lonely image of Baekbeom 10 days before his death.
    Although <Junjinchosunbo>, <JunjinDaehanbo> vividly captured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from the USAMGIK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entire contents were not introduced to the researchers. So I introduced the entire contents of the title caption by each lake.
    Among them, I selected a vivid record of the historical scene and a video record of the hidden truth and took a closer look into it. And I selected a video that could be newly interpreted as an accumulation of historical research and looked at the records and memories delivered to the citizens through newsreels produced and censor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