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후기의 인물성동이논변에 대한 학제적 연구 - 철학, 사회학 및 정치학적 접근 -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the Dispute about Nature of Human-being and Things in Chosun Dynas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08.10
23P 미리보기
조선조 후기의 인물성동이논변에 대한 학제적 연구 - 철학, 사회학 및 정치학적 접근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4권 / 54호 / 75 ~ 97페이지
    · 저자명 : 이대희, 김춘태, 박영길, 김동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조 후기의 인물성동이논변의 성격과 그 의미를 학제적 접근방식을 통해 조명해 보려는 것이다. 인물성동이논변이란 기호학파에서 전개된 인간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대한 집단적인 논변으로서 조선 후기 사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사회 질서관의 모색으로 제기된 인성론에 대한 탐구라 할 수 있다.
    호론은 사물들의 류적 차별성을 강조하는 차등적 성론인 인물성이론을 주장한 반면 낙론은 사물들의 공통성을 강조하는 평등적 성론인 인물성동론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인성론의 차이는 양자의 계층관 및 정치적 입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호론 계열은 사족계층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차등적인 계층관을 지니고 노론의 도덕적 순수성을 강조하며 남인과 소론을 배척하는 정치 입장을 표출하였다. 반면에 낙론 계열은 사회계층을 광범위하게 통합하여 지배질서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비교적 개방적인 계층관을 지녔으며 노론의 의리론을 펴면서도 타 당파와 협력하여 정국을 주도하는 유연한 정치적 입장을 지녔다.
    호론의 인물성이론은 인간과 동물의 차별성을 주장하는 점에서 철학적 인간학과 표면적인 유사성을 보이지만 현상세계의 차별상에 대한 경험적인 탐구를 주로 하여 기질에 제약되는 측면만을 성으로 인정한다는 점에서는 서양 근대의 생물학적 인간관에 보다 근접함을 보여준다. 반면에 낙론의 인물성동론은 인간과 동물의 본성을 같다고 보는 점에서 생물학적 인간관의 주장과 일치하지만 본성 덕목의 양의 차이가 아니라 이를 넘어선 정신 기능의 질적인 차이로 사람과 사물의 차이를 설명한 점에 있어서는 철학적 인간학의 체계와 유사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pute about nature of human-being and things by interdisciplinary study. This dispute happened collectively in Ki-Ho School.
    The school of Ho insisted on the theory of nature emphasizing differentiation of things. But the school of Rack insisted on the theory of nature emphasizing commonness of things. This difference in the theory of nature had an influence on their standpoint of class and political attitudes.
    The School of Ho had standpoint of class emphasizing Shih-ta-fu(士大夫) class's superiority, and stressed moral purity of Noron party. So that they took exclusive attitudes toward the other parties. On the other hand the school of Rack had openhearted standpoint of class. So that they took flexible and candid attitudes toward the other parties.
    The theory that Human-being's and Animal's nature are different seems to be externally similar to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insisting that Human-being's and Animal's nature are different. But in fact it is similar to Biological Anthropology in regarding that the only nature related to temperaments is a nature.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that Human-being's and Animal's nature are the same seems to be externally similar to Biological Anthropology in insisting that Human-being's and Animal's nature are the same. But in fact it is similar to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insisting that Human-being's and Animal's mind are different in 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