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단카이 세대의 '반란'과 미디어로서의 만화 - 만화 『내일의 조』를 중심으로 (The “Uprising” of the “DANKAI Generation” in the 1960s and Comics as Media - Centered on the Comic, “Ashita no Joe(Tomorrow's Jo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0.11
33P 미리보기
1960년대 단카이 세대의 '반란'과 미디어로서의 만화 - 만화 『내일의 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9호 / 45 ~ 77페이지
    · 저자명 : 권혁태

    초록

    이 글은 소위 ‘단카이(団塊) 세대’의 청년문화(youth culture)의 특징을 당시에 유행했던 대중만화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0년대의 정치적 ‘반란’은 동시에 문화적 ‘반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는 공공언설권에서 배제된 파괴와 폭력의 욕망(혁명성)을 표출할 수 있는 대안적 미디어로서 만화 미디어가 대두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카이 세대에게 만화 미디어는 지배문화와는 다른 이질적인 미디어 언설권이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차원에서이다. 하나는 그 내용면에서 지배 미디어에서 다룰 수 없는, 그렇게 때문에 지배문화에 적대할 수밖에 없는 혁명적 열기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담아내는 대안적 미디어로서이다. 물론 텔레비전 등과 같은 지배 미디어에서도 단카이 세대를 겨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였지만, 이런 프로그램들은 단카이 세대의 양적인 비중에 주목해 성인기 진입을 목전에 둔 청년기의 일과성의 ‘일탈’ 현상으로 문화적 ‘반란’을 자리매김했을 뿐이다. 두 번째는 그 형식면에서 만화라는 이미지 미디어가 활자 중심의 지배 미디어에 대한 대항 미디어로 대두되었다는 차원에서이다. 이는 텔레비전이나 만화 같은 이미지 미디어를 소비하고 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이미지 세대가 하나의 층으로 출현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만화 미디어는 그 내용과 형식면에서 활자 중심의 지배 미디어에 대항적 성격을 지닐 수밖에 없다. 하지만 만화 미디어의 대항적 성격은 그것이 소비사회의 산물이라는 점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이는 만화 미디어를 특정한 연령층(단카이 세대)이 소비자로서 시장에서 구입한다는 측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미디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소비문화적 요소를 만화 미디어가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문화적 요소와 반체제적 폭력/파괴의 욕구를 병치시키고 이를 이미지로 담아낸다는 의미에서 만화 미디어는 대항적 미디어였다. 하지만 소비사회의 본격적인 출현에 의해 소비문화가 지배문화에 의해 포섭되거나 하위문화로 서열화됨에 만화 미디어가 가지는 대항적 성격은 점점 퇴색해갈 수밖에 없었다. 그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 반체제적 금욕주의와 소비문화의 갈등이었던 것이다. 위에서 인용한 적군파 ‘숙청’ 사건은 1960년대에 일시적으로 병존했던 반(反)체제적 금욕주의와 소비문화의 최종적인 ‘파탄’을 상징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일의 조』의 야부키 조의 죽음도 반체제적 금욕주의의 종말을 상징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무이 전』이 학생운동의 급격한 쇠퇴와 함께 1971년에 막을 내리게 된 것은 이 만화에서 읽어냈던 역사, 투쟁 같은 단어들이 1970년대의 학생들에게 더 이상 가슴을 뛰게 하는 단어로 다가갈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일의 조』가 격렬한 혁명성의 비극적 서사로서가 아니라 빈민가 출신의 성장 이야기로 ‘둔갑’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1970년대 이후, 만화는 그 형식면에서 미디어의 한 장르로 시민권을 획득하게 되지만, 그 내용면에서는 ‘혁명성’을 상실하면서 지배문화의 하위문화로 자리 잡게 된다. 따라서 만화를 중심으로 하는 단카이 세대의 문화적 반란은 그 내용에서가 아니라 이미지 문화라는 형식면에서의 반란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culture of the “DANKAI” generation (also known as the "Baby Boomers") based on the widespread culture of popular comics at the time. The political "uprising" in the 1960s simultaneously possessed traits of a cultural "uprising" as well.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initiation of comics coming to the fore as alternative media to express the destructive and violent desires. Comics had previously been forbidden as a medium through which to make a public statements. Comic media differs from that of dominant culture for the “DANKAI generation” and it was a rather heterogeneous form of media granting the right to public expression. This is illustrated in the following two ways.
    First, because the content cannot vary much from that of dominant culture, alternative media cannot help but express hostility, bordering on revolutionaryzeal, towards dominant culture to convey various cultural desires. Of course, television and other types of dominant media have planned various programs aimed at the “DANKAI generation”. However, these efforts, having focused on the quantity of Baby Boomers, have only resulted in a cultural ‘uprising’ of transient deviance among adolescents facing imminent admittance into adulthood.
    Second, the image media form of comics began a rival form of media against the type-centered dominant media. This signaled the start of the image generation, a consumer group of image media (i.e. television or cartoons) The youth express their individuality through this media, appearing as a separate class in society. For this reason, the content and form of comic media inevitably displays an oppositional character towards dominant media. However, the comic media’s oppositional nature has deep connections to the fact that it is a by product of the consumer society. We know the DANKAI generation identifies with comic media through their purchases in the market, as the comic media possesses consumerism traits non-existent in other forms of media.
    Therefore, in light of the juxtaposition of consumerist traits and the desire for anti-systemic violence and destruction in image format, comic media is ultimately a counteracting form of media. Nevertheless, by the full-blown advent of the consumer society, the consumer culture was subsumed and ranked as a sub-culture by the dominant culture. This inevitably brought about the gradual fade of the oppositional personality of comic media. It is within this process that a conflict between anti-systemic asceticism and consumer culture began to transpire.
    The aforementioned reference to the incident which purged the Red Army Faction was the symbolic and final "rupture" between the anti-systemic asceticism and consumer culture which had coexisted in the 1960s. Moreover, the death of Yabuki Joe in “Ashita no Joe(Tomorrow’s Joe)” is also symbolic of the end of anti-systemic asceticism. Accordingly, by this the cartoon “Kamuiden(The Legend of Kamui)” depicts the sudden decline of student demonstrations in 1971, and words such as “struggle” ceased to inspire students throughout the 1970s. This is the reason behind the transformation of “Ashita no Joe” from a tragic prologue of the violent revolution to a life story of a person from the slums.
    Subsequent to the 70s, while comics became a media genre in form and acquired popular among citizens, in content, it lost its sense of “revolution” and tooks its place as a sub-culture beneath dominant culture. Consequently, the cultural “uprising” of the “DANKAI generation” centered on comics was perceived to be an uprising in the form of image culture rather than the content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