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대인 법정질권의 법역사적 발전: 민법 제650조의 요건을 중심으로 (Legal-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Lessor’s Statutory Pledge: with a focus on the prerequisites of Article 650 of the Korean Civil Cod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3.11
24P 미리보기
임대인 법정질권의 법역사적 발전: 민법 제650조의 요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사학연구 / 68호 / 179 ~ 202페이지
    · 저자명 : 최윤석

    초록

    로마시대의 질권은 점유질과 비점유질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존속하였다. 임대인질권은비점유질로 시작되었다. 임차인이 임차토지에 반입한 물건의 점유를 임대인이 취득하지 않아도임대인질권이 인정되었다. 질권설정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에 임대인질권에 관한 명시적인 합의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 형태로, 점차 묵시적 합의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임차인이 임차주택에 반입한 물건에 대해서 임대인과 묵시적 합의를 통해 질권이 설정된다는 D. 2,14,4 pr.의 내용을 콘스탄티노플을 넘어서 모든 속주까지 확장하여 적용함으로써 임대인질권을 법정질권으로 발전시켰다.
    이 임대인의 법정질권은 보통법과 프로이쎈 일반란트법, 나아가 독일민법 제정과정에서 묵시적합의 조차도 필요 없는 비점유질의 법정질권으로 발전 및 제정되었다.
    우리 민법 입법자들은 독일민법을 모범으로 하여 우리 민법전에 임대인 법정질권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우리 민법 제650조는 독일민법과 다르게 건물에 부속한 동산 및 압류라는 요건을 규정하고있는바, 로마시대로부터 발전해 온 비점유질의 임대인 법정질권과는 다른 형태로 변질되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우리 임대인 법정질권의 조화로운 해석을 위해 본제도의 본질을 추적하고, 우리 민법의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ledge in Roman law was divided into two types: possessory pledge and non-possessory pledge. The lessor’s security right was a non-possessory pledge. The lessor’s security right was accepted even if the lessor did not acquire the possession of the goods brought into the leased land/building by the lessee. Originally, the lessor’s security right was based on an explicit agreement between the lessor and the lessee, which is generally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pledge. Subsequently, the Roman scholars assumed that the lessor and the lessee agreed implicitly on the lessor’s security right, so that an explicit agreement was no longer required.
    Justinian I developed the lessor’s security right to a statutory pledge by applying the content of D. 2,14,4 pr. according to which pledges are established through implied agreements on goods brought into the leased apartment by the lessee, beyond Constantinople to all Roman provinces.
    The lessor’s security right was developed and enacted as a non-possessory statutory pledge which does not require an implied agreement in the Common Law (ius commune), the General State Laws for the Prussian States, and the German Civil Code.
    The Korean Civil Code accepted the lessor’s statutory pledge in the Korean Civil Code, taking the German Civil Code as an example. Article 650 of the Korean Civil Code reads as follows: “If the lessor of a building or any other structure attaches, pursuant to the claims created under the lease, a movable owned by the lessee and also affixed to the building or any other structure, it shall be effective as a pledge.” Unlike the German Civil Code, Article 650 of the Korean Civil Code stipulates the requirements for movables affixed to the building and their attachment. It differs from the lessor’s statutory non-possessory pledge that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Roman law. Focusing on these major differences, this study analyzes the nature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lessor’s security right and aims to provide a better legal-historical understanding and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Article 650 of the Korean Civil Co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