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특허법 제32조 “공중의 위생을 해칠 우려” 규정의 기능과 해석 (“An Invention Likely to Harm Public Health”and Unpatentabilit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1.06
46P 미리보기
특허법 제32조 “공중의 위생을 해칠 우려” 규정의 기능과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56호 / 159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원복

    초록

    근래에 특허법원은 “위령선”이라는 성분을 포함한 식품 조성물 발명이 공중의 위생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보아 특허법 제32조를 근거로 특허를 받을 수 없다고 판단한 바 있다.
    특허법 제32조의 “공중의 위생을 해칠 우려”의 입법 취지나 구체적인 기능은 국내 입법 자료, 학설, 판례를 종합하더라도 분명하지 않다. 우리 법이 일본 특허법을 계수하면서 일본 특허법 제32조를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보이는데, 일본 역시 최초 특허법을 입법하던 1885년 당시 공중보건을 이유로 특허를 거절할 수 있는 근거를 두었던 유럽 여러 나라의 입법례를 모델로 한 것으로 추측된다.
    “공중의 위생을 해칠 우려”의 해석은 무엇보다 그 기능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특허법에서 공서양속 위반이거나 공중위생에 위해가 되는 발명에 대하여 특허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는 발명가가 배타적으로 실시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할 뿐, 실시 자체를 금지하는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다. 따라서 특허법 제32조는 발명의 실시를 금지하거나 좌절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발명의 실시가 어느 한 사람에게 독점되어 지대를 누린다거나 또는 독점을 노리는 다수가 연구개발 경쟁을 벌이는 현상을 방지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자명한 발명에 국가가 특허권을 부여함으로써 특허제도와 특허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이 폄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우리 특허법이나 일본 특허법 모두 과거 입법에서 특허를 불허하는 사유가 많게는 5개의 항으로 나뉘어져 있었던 시절에도 “공중의 위생을 해칠 우려”는 전단의 공서양속 위반과 늘 같은 항에 위치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허법 제32조의 “공중의 위생을 해하는 경우”란 같은 조 전단의 공서양속 위반의 한 유형으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 경우 특허법 제32조의 “공중의 위생을 해칠 우려”는 지금까지 특허청이나 특허법원이 기준으로 삼아온 발명의 기술적 안전성이 기준이 되어서는 곤란하고, 건전한 상식을 가진 일반인의 시각으로 보아 해당 발명에 유익한 목적이 전혀 없이 오로지 인체에 위해만을 야기하는 것이 청구항 자체로 자명한 경우에만 적용해야 한다.

    영어초록

    In a 2020 decision, the Korean Patent Court found a functional food claim containing Asian virginsbower-derived compound unpatentable based on Article 32 of the Korean Patent Act. There is not an abundance of legislative history, scholarly work, or court decisions from which to formulate the purpose or function of the “likely to harm public health” clause of Article 32. Article 32 is actually a word-for-word reiteration of the identically numbered provision of the Japanese Patent Act, which, in turn, appears to have been adopted from similar provisions under a number of European patent laws back in 1885, when Japan legislated its first patent law.
    “An invention likely to harm public health” must be interpreted in light of the function it serves. Article 32 unpatentable invention does not serve to forbid or frustrate socially undesirable inventions. Unpatentability only means the unavailability of monopoly. What Article 32 serves, then, is to preempt monopoly, thereby preventing rent from a socially undesirable invention and possible rent-seeking behavior. Article 32 also serves to preserve respect in the patent system and the patent authority by precluding clearly undesirable inventions that may be ridiculed by the public if granted paten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o abandon using “safety” as the standards for applying Article 32 that the Korean Patent Office, as well as the Patent Court, have endorsed. Instead, “an invention likely to harm public health” should be considered as one that is so obvious from the text of the claim to be without any beneficial purpose and solely intended to create bodily harm as to abhor the average person with sound princi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