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시조 속 나비[蝶]의 다기한 형상과 그 ‘넘놂’의 미학 (The Aesthetic of “넘놂 (flying over)” : Variety in the imagery of the Butterfly in Sijo)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5.03
29P 미리보기
고시조 속 나비[蝶]의 다기한 형상과 그 ‘넘놂’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62호 / 7 ~ 35페이지
    · 저자명 : 박영재

    초록

    이 연구는 고시조에 등장하는 나비[蝶]의 다기한 형상을 ‘채소밭[菜花田]과 청산(靑山)’, ‘거미줄과 꽃 위’, ‘삼색도화(三色桃花) 핀 집’이라는 세 범주의 상황 혹은 시공간에 결부 지어, 시조 속 나비 형상과 그 ‘넘놂’의 미학을 조명하였다.
    한국 고전시가사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등장한 나비의 형상으로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에 나타난 두 형태를 꼽을 수 있는바, 본고에서는 익재와 급암 소악부에 나타난 나비의 두 방향성과 유사한 형태로 고시조의 나비 형상을 나누어 일종의 군집을 상정하였다. 이에 익재 소악부의 사례를 ‘채소밭과 청산의 나비’, 급암 소악부의 사례를 ‘거미줄과 꽃 위의 나비’로 분석하고, 2장과 3장의 논의를 통해 각각의 지향을 ‘조화로운 자연과 순수성을 향한 희구’, ‘애정과 외로움, 탐닉과 경계(警戒)의 양가성’으로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후자의 연장선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이나 그 이상의 미학적 잠재력을 함축한 ‘삼색도화(三色桃花) 핀 집을 넘노는 나비’를 조명하였다. ‘기어들고 기어나는 집’이라는 공간, ‘삼색도화의 개화(開花)’라는 상황과 결합하여 등장한 이 새로운 나비 형상에서는, 애정-애욕에의 탐닉이 폭주한 결과 관습적인 상징이나 수동적인 시적 대상을 넘어선 면모가 나타난다. 꽃을 취하기 위해 온갖 경계를 ‘넘노는’ 행위-욕망의 주체로서 나비 형상이 보여주는 ‘넘놂’의 정동은 조화로운 자연이나 순수를 향한 동경, 애정과 외로움, 탐닉과 경계 같은 다양한 의미망을 마구 넘나들었던 그 미학적 잠재력을 함축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butterfly imagery in Sijo by connecting it to the following three themes: vegetable fields and green mountains (菜花田 and 靑山), spider webs and flowers, and a house with three-colored peach blossoms. It explored the aesthetic of “flying over” (넘놂) in the representation of butterflies. Butterfly imagery appears earl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notably in SoAkbu (小樂府) by Lee Je-Hyun (Ikjae) and Min Sa-Pyung (Geupam). This study compares the butterfly imagery in Gojiso with earlier forms, dividing them into “butterflies in vegetable fields and green mountains” and “butterflies on spider webs and flowers.” The former reflects a longing for harmony between nature and naiveté, while the latter expresses the ambivalence of affection and loneliness or indulgence and vigilanc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butterfly imagery that appears in “a house with three-colored peach blossoms,” which seems to represent an ingenious aesthetic potential. Moving beyond traditional symbolism, this butterfly embodies the desire to transgress boundaries. The butterfly’s act of transgression captures the emotional essence of various meanings from nature and purity to affection, loneliness, and des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