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조·전기 주거형태의 변화와 특징 (A research on transition and feature in housing type of Bronze age in Youngnam region S.Kore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3.12
35P 미리보기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조·전기 주거형태의 변화와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광장 / 33호 / 25 ~ 59페이지
    · 저자명 : 정대봉

    초록

    한반도 남부지역 청동기시대 연구는 짧은 시간 내에 눈부신 성과를 거듭해 왔지만, 대부분의 성과는 유물(토기)을 위주로 한 형식화·양식화에 따른 편년연구에 집중되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형식변화 하거나 조합을 이루어 ‘양식’이 되는 유물에 비해 주거형태의 변화는 매우 보수적이며 기후, 환경, 사회경제체제 혹은 기술의 발전이나 인간의 기호 등과 같은 인문·사회·지리적 복합요인에 의해 서서히 변화하므로 형식학적 방법이나 양식론과 같은 전통 고고학적 방법론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방법은 주거형태의 개념 및 용어정리, 자료의 검토, 주거형태 변화의 특징과 고고학적 含意 등에 기반하였다.
    우선 현재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의 주거형태를 망라하여 일관된 개념과 정의를 통해 典型을 설정한 다음, 미사리식주거지1·2, 가락동식주거지1·2, 관산리식주거지1·2·3, 先검단리식주거지 등으로 대별하여 특수성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대상지역 내 대표 유적을 선정하여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각 주거형태별 변화양상을 종합하여 고고학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평면형태변화, 노지의 분할 및 복수화 현상 등은 세대공동체의 증가로 이해하였고 노지의 구조는 이주민 집단에 포함된 전통의 잔존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전기 超세장방형주거형태(관산리식주거지3)는 고위도 지역에서 나타나는 농업과 어업, 사냥, 채집 등 복합적인 정착형경제활동에 의해 유지되는 초기 정착마을에서 보이는 롱하우스(longhouse) 문화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를 우리 선사문화의 ‘보편성’으로 인식하였다.

    영어초록

    A research on Bronze age in S.Korea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but most of the achievements are confined on recording chronologically by pottery. It is so difficult to understand transition in housing type more than pottery because it is so conservative to change compared with pottery. Also it is changing by climate, environment, economic structure, development of technology, human preference and so on. The research method is order by fundamental concept of housing type of early Bronze age in S.Korea, case review, transition and feature in housing type and implication of archaeology.
    First of all, to set up typical housing feature of four types, and making a division for Misari, Garakdong, Kwansanri and Heunamri type. In sequence, to observe transition and feature of all housing type in Youngnam region especially the middle and upper streams of the Nakdonggang River, inland area, the southwestern area and south-east coast. The housing type of Misari demonstrate for transition of floor plan, number of fire pit and structure. The housing type of Garakdong demonstrate for becoming longer and disappearing of foundation stone. The housing type of Kwansanri also demonstrate for disappearing stone fire pit and standardizing of wooden column. On the other hand, housing type of Heunamri demonstrate for reduced fire pit and becoming re-smaller floor plan. And it turns to type of Gumdanri that is the latter part of Bronze age in the southeastern region. In conclusion, I analyzed for transition and feature in housing type as characteristics of early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as universality of hunting-gathering society. In other words, the appearance of early Misari type is characteristics for deportation and settlement especially Korean Peninsula while type of Kwansanri is understood for universality by being expanded floor plan, division of fire range, structure transition, standardization of intercolumniation, that is also understood longhouse culture where living high latitude area. Popularly, in such society is understood as a complex incipient agriculture and hunting-gathering society. This research regard that society as universality of prehistoric culture of Korean Peninsula.
    And a pull-factor of transition in housing type occurs by complex causes such as population growth, development of technology, natural environment change, livelihood strategy and so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고광장”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