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信忠掛冠’조에 내재된 진의와 <怨歌>의 시적 기능 (The intrinsic true meaning of ‘Sinchung gwaegwan’ and the poetic function of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0.05
27P 미리보기
‘信忠掛冠’조에 내재된 진의와 &lt;怨歌&gt;의 시적 기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37호 / 251 ~ 277페이지
    · 저자명 : 이완형

    초록

    이 논문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 제5, 「피은(避隱)」 제8에 수록된 ‘신충괘관(信忠掛冠)’조와 <원가(怨歌)>가 신충의 신(信)과 충(忠), 그리고 봉축대왕(奉祝大王)이라는 목적의식을 드러내기 위해 기술되었다는 관점을 견지한다. ‘신충괘관’조가 ①신충의 원가 창작 → ②신충의 출가와 단속사 창건 → ③신충의 단속사에 대한 또 다른 기록 예시 → ④신충에 대한 찬이 유기적으로 짜여져 있으면서 신충이 주도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충괘관’조가 「피은」편에 수록되었다는 사실은 이 조목이 「원가」 창작이나 노래의 효험성, ‘수홀황췌(樹忽黃悴)’에 역점을 둔 것이 아니라 신충의 피은하는 그 자체를 기리는 데 목적을 두었다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이 조목은 신충의 선향가(善鄕歌)하는 능력과 향가의 효험성, 그리고 군신간 언약의 중요성과 등용의 공평성, 언로의 소통성, ‘신충괘관’의 조목명 사용 등을 통해서 그것이 세 가지 함의를 수반하고 있음도 확인된다. 그렇기 때문에 「원가」의 생성동인은 신충이 임금에게 충성하기를 간절히 바랐지만 그것이 실현되지 않자 자신의 불신불충을 원망하며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고, 잣나무마저 그의 충정을 알고 있기에 스스로 시들었다는 것에서 찾아져야 한다. 임금의 언약에 막연히 원망이나 하는데 잣나무가 말랐을 리 없으며, 그것을 일연이 가상히 여길 리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원가」는 군신간 언약의 중요성과 군신간 도리의 실현성을 일깨우기 위한 노래로의 해석이 가능하다. 그것도 왕에 대한 원망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왕에 대한 충정을 다하지 못하는 자원(自怨)에서 불려진 노래라는 점에서 충군가(忠君歌)의 성격을 띤다 하겠다. 그러한 의미에서 「원가」의 기능 역시 신충이 총신으로서의 능력과 충절을 지닌 신하임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효성왕에 대한 경계의 의미를 일깨우는 것으로 작용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maintains the viewpoint that the "Sinchung gwaegwan" song and <Wongga> recorded in No. 8 「Pieun」 of Vol. 5. of 『Samgungnyusa』 were described to show a sense of purpose such as trust and royalty of Sinchung and Great King Bongchuk.
    It is because Sinchung is initiatively acting, while the "Sinchung gwaegwan"song is organically composed like ① creation of Wongga by Sinchung → ② leaving home and founding of Dansok temple of Sinchung → ③ another record example on Dansok temple of Sinchung→ ④ admiration on Sinchung.
    And the fact that the "Sinchung gwaegwan" song was recorded in the 「Pieun」 part means that this item didn't stress creation of <Wongga> or self-efficacy of a song or 'Suholhwangchwe', but aimed to admire 「Pieun」 itself of Sinchung.
    On the other hand, it is confirmed that this item is including three kinds of implications through Seon Hyangga ability of Sinchung, self-efficacy of Hyangga, importance of a promise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fairness of appointment, communicativeness of opinions and use of the item name of 'Sinchung gwaegwan', etc.
    Therefore, the creating motive of <Wongga> should be found in the point that although Sinchung seriously hoped to be faithful to the King, when it was not realized, he made a song and attached it to a Korean white pine while resenting his own distrust and disloyalty, and that as even the Korean white pine knows his true feeling, it was faded itself.
    In spite that he vaguely resented the promise of King, there is no reason that the Korean white pine became dry, and it is because Ilyeon wouldn't regard it as commendable.
    Therefore, the <Wongga> can be analyzed as a song for reminding importance of a promise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and realization of reason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character of a song for faithfulness to the King in the point that it is not caused by resentment on the King, but is a song sung from self-resentment on what he couldn't do all his faithfulness to the King.
    In such a meaning, the function of the <Wongga> is to raise that Sinchung is a subject having ability and loyalty as a favorite subject as well as to act to remind the meaning of alertness on Hyoseong 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