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법」 제256조 단서에 관한 해석과 입법에 대한 비판 (A Critique of the Interpretation and Legislation of the Proviso of Article 256 of the Korean Civil Ac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6.09
29P 미리보기
「민법」 제256조 단서에 관한 해석과 입법에 대한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6권 / 3호 / 55 ~ 83페이지
    · 저자명 : 명순구

    초록

    땅에서 배를 밀어 움직이려는 것(推舟於陸)과 같이 민법의 기본체계에 어울리지 않은 민법 규정이 있다. 이러한 규정은 체계의 정합성을 방해하고 체계적 해석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런 시각에서 유의하고자 하는 것이 「민법」 제256조 단서이다. 이 논문은 제256조 단서가 타당한 이유도 없이 권리객체 및 부합이론에 관한 일반원칙에 어긋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로 인한 폐해가 결코 적지 않음을 논증한다.
    물건의 요건인 독립성의 판단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기준은 물체의 물리적 형태보다는 거래관념이며, 그 결과 독립성은 매우 신축적인 개념으로 된다. 부동산의 범주와 관련하여 다양한 학설이 있다. 특히 토지정착물에 관한 설명이 혼란스럽기까지 한데, 토지정착물이라 하여 모두 부동산으로 볼 것은 아니며, 토지정착물 중에는 부동산인 것도 있고 부동산으로 볼 수 없는 것(즉 토지의 구성부분)도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하여 통설의 ‘독립정착물’과 ‘반독립정착물’은 부동산이지만 ‘종속정착물’은 애당초 부동산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부합의 기초개념과 관련하여 동산에의 부합과 부동산에의 부합의 개념을 일원적으로 파악하는 다수설과 판례의 입장이 타당하다. 그리고 부합물의 범위에 관하여 학설이 대립하나 부합물은 동산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특히 건물이 토지에 부합하는가의 논의는 부합이론이 아닌 종물이론에 문의해야 할 일이다.
    「민법」 제256조 단서는 토지정착물을 토지와 별개의 부동산으로 보는 우리 민법체계에 어울리지 않으며, 딜레마를 야기한다. 부합의 개념에 충실하고자 하면 제256조 본문과 단서의 관계가 깨지고, 본문과 단서의 관계에 충실하고자 하면 부합의 개념이 깨진다. 제256조가 단서가 면밀한 입법계획에 의한 것이라면 절충과 우회 등 적절한 방법으로 딜레마를 극복해야 할 것이지만 그런 정도의 의미를 가지는 상황도 아니다. 제256조 단서는 우리 민법 질서와 어울리지 않는다. 제256조 단서는 면밀한 입법계획에 기초한 규정도 아니다. 심하게 평가하자면 경솔한 입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256조 단서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은 그것이 없이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제256조 단서의 모법에 해당하는 의용민법 제242조 단서의 입법 과정을 보면 입법자는, 규정의 문언 하나하나에 무게를 두었다기보다는 부동산에 다른 물건이 부합된 경우에 그 부동산에 대하여 사용권원이 있는 사람이 사용권원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불이익한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유의하였고, 구체적인 내용은 후세의 해석에 일임한 사실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런데 후세의 법률가들은 그 규정의 문언에 지나치게 얽매어 가야할 길을 가지 못한 것 같다.

    영어초록

    Trying to push a boat on the ground is an incongruity. As such, an incongruous provision in the Korean Civil Act hinders its consistency and frustrates the interpretation of the whole legal system. The proviso of Article 256 is such a provision. This paper reveals the inappropriateness and harmful consequences of the proviso of Article 256 which goes against the general principles regarding the object of law and the theory on attachment.
    In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independence of a thing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is the notion of transaction, not the physical form of a thing. As a result the condition of independence is a flexible concept. There are various doctrines regarding the categorization of immovables, most notably things affixed to land. Not all things affixed to land are considered to be immovables, since some are seen as immovables while others are viewed as forming a part of an immovabl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dominant doctrine, independent things affixed to land and semi-independent things affixed to land are considered to be immovables, while subordinate things affixed to land are not.
    The approach taken by the prevalent doctrine and case law towards annexing in respect of movables and immovables based on the fundamental concept of annexing can be said to be appropriate. Although there is dispute as to the scope of affixed things, it should be limited to movables. Whether a building is affixed to land should be a matter of accessories, not affixed things.
    The proviso of Article 256 is incongruous with our civil law which views things affixed to land as a separate immovable than land. As a result the provision creates a dilemma. Maintaining the concept of annexing fr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provision and the proviso of Article 256, wherea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makes it difficult to uphold the concept of annexing. Had the proviso of Article 256 been the result of meticulous legislation a solution to the dilemma may have been possible to find. However this is unlikely. The proviso of Article 256 is an incongruity in the realm of annexing, one of the causes of acquiring ownership. The proviso of Article 256 is not the result of meticulous legislation. The purpose of the proviso of Article 256 can be achieved without this provision. Moreover, the purpose of the proviso of Article 242 of the Borrowed Civil Act (which is the origin of the proviso of Article 256 of the Korean Civil Act) was to avoid instances where the person with the title to the immovable to which things were affixed may be in a less favorable position vis-a-vis persons without such a title. The provision was not prepared in a word-for-word manner. Rather it was meant to be the subject of flexible interpretation. However posterity has been tied down by the wording of the provision, thereby fail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ovis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