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신분에 의한 차별사유에 관한 소고― 헌법 제11조 및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의 사회적 신분의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scrimination Based on the Social Status -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 Social Status on the Constitution Article 11 and National Human Right Committee Act Article 2 -)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4.12
45P 미리보기
사회적 신분에 의한 차별사유에 관한 소고― 헌법 제11조 및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의 사회적 신분의 의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헌법학연구 / 20권 / 4호 / 167 ~ 211페이지
    · 저자명 : 이상경

    초록

    평등이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우리 헌법 제11조는 법 앞의 평등원칙과 평등권을 규정하였고, 공적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사적 영역에 있어서도 차별행위를 금지하고 평등이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법에도 관련 규정을 두었다. 특히 헌법에서는 평등이념의 실현과 관련하여,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 등 종래 역사적으로 차별과 편견의 대상이었던 집단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규정을 두었고, 구체적인 차별금지사유에 관하여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자세한 목록을 두었다.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 제3호에서 정한 19가지의 차별금지사유 가운데 가장 포괄적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는 ‘사회적 신분’의 포섭 범위 혹은 개념 범주를 획정하는 것은 실무적으로도 차별을 이유로 한 진정사건의 접수와 처리를 어떠한 방식으로 해야 할 것인지 또한 국가인권위원회가 차별행위라는 판정을 할 때에는 차별의 근거가 무엇인지 제시해야 한다는 점에서도 선결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전에 예견치 못한 사건에 대한 진정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접수될 경우 실무적으로 이를 기타 사유에 의한 차별사건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적 신분과 기타 사유를 구별하는 하나의 기준이라도 만들어 보려는 시도를 위해 먼저 사회적 신분의 정의에 관한 일반론으로서 학설․판례를 검토한 후, 새로운 관점에서 사회적 신분에 관한 개념을 수립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적 신분의 범주론적인 접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진정사건들 가운데 인용사건을 중심으로 분류를 시도함으로써, 실제 사건들을 통해 사회적 신분을 보다 구체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신분의 의미를 종래 통설․판례와는 달리 사회적 편견설이라는 입장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통설․판례보다는 좁게 혹은 넓게 사회적 신분을 정의하고 포섭하여 개별적․구체적으로 사회적 편견과 예단에 의해 차별받고 고통 받는 소외집단에 대한 기본권보호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적 신분을 헌법 제11조 제1항 전문의 예시사유로 보지 않고, 특별히 후문을 규정하여 사회적 신분을 헌법이 보호하고 차별을 금지하는 사유로 판단함으로써, 사회적 신분에 의한 차별이 발생할 경우 ‘엄격한 위헌심사 기준’인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함으로써 기본권 최대보장의 정신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사회적 편견설이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편견에 근거한 사회적 신분 차별의 경우 유효한 문제해결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order to fulfill the equality ideology,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11 stipulates the equality before the law and the right of being treated equal. In addition to the public sector, the National Human Right Committee Act Article 2 provides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with a variety of reasons in a private sector. Especially, the Korean Constitution gives a special meaning to the minority and prejudiced classes, such as sex, religion or social status, which as we believe have been discriminated in history for such a long time. The National Human Right Committee Act Article 2, the second sub-clause articulates concrete reasons and areas not to be discriminated, which covers 19 reasons including the social status. Since the social status here can be interpreted so broadly covering all kinds of social discriminations, it is so necessary to redefine the exact meaning of the social status and the scope of the inclusion of it. However, still it is very difficult exactly to redefine the meaning of the social status. Hence, this article tries to create a new standard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social status, which is called “the social prejudice theory”, on which the author puts its name. The social prejudice theory redefines the social status as being a group which has suffered a lot of the social prejudice and judgmental decision with respect to its status and position in a society, which can hardly be endured by normal persons in the society. This article tries to use this analytic method to figure out the actual petition cases to the National Human Right Committee and to draw the meaningful results to discern the social status from the other reasons, especially from the reason of ‘etc.’ In this regard, the social prejudice theory redefines the social status narrower or sometimes broader than the existing theories do, which gives more protection to the fundamental right holders, for once a case admitted under the category of the social status, then the strict scrutiny shall be used to scrutiniz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discrimination with respect to the social status. Therefore, the article insists that the social prejudice theory will contribute to the maximum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al right ideology in the future as an effective device, for the theory will adjust itself to be applied to newly developed social prejudices to be sol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