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왕실악기 수요와 대응의 역사적 전개 양상 (Historical Research on the Demand for Supply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Joseon Court)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3.12
20P 미리보기
조선조 왕실악기 수요와 대응의 역사적 전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54권 / 147 ~ 166페이지
    · 저자명 : 송혜진

    초록

    본 논문에서는 조선 왕실의 악기수요와 대응에 대한 역사적 전개양상을 살폈다. 악기는 국가의 제례와 연향의 주요 구성요소였으므로 왕실에서는 이의 구비와 제작, 관리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는데 그 수요와 대응 양상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세종조의 악기 제작 및 조선후기의 악기제작 관련 의궤 (『제기악기도감의궤』,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사직악기조성청의궤』) 외에 조선조 왕실악기 수요 및 대응 양상을 전반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악기 제작과 관련된 기사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현전하는 조선 후기의 연향관련 의궤에도 악기의 신제(新製) 및 수보(修補) 내용이 기술되었으므로, 이 내용을 포함하여 시기에 따른 수요의 추이와 이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악기의 수요는 ①국가의 예악의 전반적인 미비(건국초와 임진왜란 직후), ②악기의 노후와 파손․도난․화재 등에 의한 결손(성종․중종․명종․영조․순조), ③신규의례 악기(영조-황단, 정조-경모궁제례, 고종-원구) 및 의례의 주악 전통 복원(숙종조의 담제(禫祭) 후 풍악), ④제작기술 부족으로 음정이 불안정한 경우(세종․중종․명종․영조), ⑤악대 편성에서 누락된 악기의 보충(숙종:敔․塤), 영조-管簫笙琴), ⑥악대 편성에 신규로 편성되는 악기 보충(순조:운라․부구 등, 헌종:笳․洋琴, 고종:특종․특경), ⑦의례용 악기와 습악용 악기의 구비(성종), ⑧전정 의례 악기 전반적 수보(광해군․고종), ⑨계기에 따른 궁중연향의 시행(숙종 이후 고종), ⑩연산군 때에 발생한 연향악기의 이례적인 요구, 등이었다.
    이와 같은 수요에 대하여 조선왕실에서는 ①신규제작(세종․세조․성종․중종․선조․인조․광해군, 숙종․영조․정조․순조․헌종․고종) ②중국에 자문(중종․명종․광해군․영조) 혹은 수입(태종․영조), ③증수 및 교정(矯正), 수보(修補)의 방법(세종․세조․성종․중종․선조․인조․광해군, 숙종․영조․정조․순조․헌종․고종)으로 충당하였다. 신규제작은 주로 악기도감(樂器都監)․악기감조색(樂器監造色)․주종소(鑄鐘所)․종경청(鐘磬廳)․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등을 설치하여 진행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악학도감(樂學都監)․장악도감(掌樂都監)․장악원(掌樂院) 등이 주관하거나 공조(工曹)에서 제작하였고, 연향악기는 진연청의 관리 하에 해당 부서의 업무협력으로 충당되었다. 각 시기마다 음률에 밝은 관리 및 공장(工匠)들을 중용하였는데, 세종 때에는 박연․남급(南伋)․이천(李蕆)․장영실(將英實), 중종 때에는 이청(李淸), 정자지(鄭子芝)가, 명종 대에는 조성(趙晟)이, 영조 때에는 이휘진(李彙晉)과 이연덕(李延德), 최천약(崔天若)이, 정조 때에는 장악원 제조 이종호, 김용겸, 판중추 서명응과 서생 서상수 등이 천거된 바 있다.
    한편, 시기별 수요와 대응 양상은 크게 4시기로 정리되었다. ①건국 초부터 1431(세종 13)년까지, 왕실악기제작의 기반이 조성된 시기, ②성종에서 명종 때까지, 세종 조에 완비된 악기의 결손을 부분적인 증수로 대응한 시기, ③선조에서 현종 때까지, 전란으로 인해 왕실악기가 전반적으로 미비하게 되었으나 국가 재정 악화로 악기 제작이 총체적으로 진행되지는 못하고, 제향 및 연향의 필요에 최소한으로 대응한 시기, ④숙종 이후 조선말, 다양한 수요에 안정적으로 악기를 충당한 시기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rituals and banquets during the Joseon Dynasty. Major sources for this research include the royal protocols (uigwe) for the manufacture of musical instruments and for banquets, and other documents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provision of musical instruments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four historical peri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need in each period and the method employed to meet that demand, either new manufacture, repair, or purchase.
    The initial period (1392~1431),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dynasty to just prior to the reign of King Sejong, saw the active creation of demand with the founding of the new nation. During Taejong’s reign (1400~1418), some ritual musical instruments were imported from China; during King Sejong’s time (1418~1450), however, the foundations of domestic royal instrument manufacture were firmly established through systematic research by scholars, and many instruments were produced to meet the royal demand.
    The second stage, spanning (1432~1567), was a period for fixing and repairing instruments as needed, following damage or loss. Mostly, it was the fixed-pitch idiophones, like the pyeongjong, pyeongyeong, and saenghwang, that required repair. Even though the Akhakgwebeom was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Seongjong and systems for instrument manufacturing were established, in reality, it was a time of reduced and very limited demand for musical instruments. The Yeonsangun era marked a temporary, if exceptional, increase in the, as a result of the king’s extravagant orders.
    During the third period, from Seonjo through Hyeonjong (1567~1674), demand heightened to replace damaged instruments in the wake of the two wars. However, in reality, only ritual and banquet musical instruments were replaced, due to the financial strains on the nation.
    The fourth stage (Sukjong to Sunjong; 1674~1910), saw the establishment of new rituals and the continuous hosting of royal banquets during the reigns of Sukjong, Yeongjo, Jeongjo, Sunjo, Heonjong and Gojo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musical instruments was steady during this period. In addition, instruments had to be produced to replace those lost due to fire.
    The aspects of supply and demand for Joseon royal instruments were, first, second, newly-developed instrument manufacturing institutions; second maintenance and repair; and third dependence on China. In this regard,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were requests from China for the importa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o fix the pitches. New manufacturing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sic, replacing losses from fire and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rituals and banquets. Meanwhile, “subo(修補:fixing and repairing)” was the default method of meeting dem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