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여성소설의 전쟁 체험과 여성 주체성 형성 - 박완서의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와 장졔(张洁)의 『무자(无字)』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r Experience and Female Subjectivity Formation in Korean and Chinese Female Novel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7.09
29P 미리보기
한·중 여성소설의 전쟁 체험과 여성 주체성 형성 - 박완서의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와 장졔(张洁)의 『무자(无字)』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93권 / 247 ~ 275페이지
    · 저자명 : 방문정

    초록

    이 논문은 한국 작가 박완서의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와 중국 작가 장졔의 『무자』를 대상으로 여성들의 전쟁 체험과 여성의식의 변화 과정, 주체성의 형성 등을 살펴보았다. 두 작품 모두 여성의 시각으로 전시 여성들이 직면해야 하는 위기와 문제, 그리고 고난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극복하면서 여성으로서의 삶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하는 모습을 적절히 형상화하고 있다. 비록 나라는 다르지만, 두 작품에 반영된 전시 여성의 삶을 통해 전쟁이 여성의 삶에 끼치는 영향과 여성 정체성 찾기에 나타난 보편성과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세대 여성들의 경우, 전쟁의 고통스런 경험은 기성의 관념을 강화시키기도 하고 또 역으로 분열시키기도 한다. 즉 구세대 여성들이 체화하고 있었던 가부장적 이념이 남성 중심적 사상으로 강화되어 등장하기도 하고, 또 여성의 공적 영역에서의 사회생활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가부장적 이념의 분열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다른 한편 전쟁은 여성에게 가족의 유지와 생계 문제 해결을 요구함으로써 공적 공간으로의 진출 계기를 마련해 주었으며 이를 통해 여성은 독립한 인간으로서의 자아를 찾아가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결국 개인의 성장과 주체성의 구성은 사회가 제공하는 경험의 요소와 인간 내면의 주체 의식이 서로 호응되면서 발전해 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작품은 전쟁의 계기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 여성들이 자신의 힘으로 삶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경제적 독립을 통해 인격적 독립까지도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물론 두 작품에 나타난 주체성 형성 과정의 구체적인 양상에는 차이가 분명 존재한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에서 주인공 여성은 전쟁 중 여성 가장이 되면서 자신의 내면을 형성하고 자연스럽게 연애과 결혼의 경로를 거친다. 『무자』의 우웨이는 작가가 되면서 가장으로서의 면모를 보이지만, 왜곡된 남성관으로 인하여 두 번에 걸친 결혼에 실패한다. 이러한 차이는 작가의 경험과 의식의 차이로 나타난 것이기도 하지만, 한국과 중국의 전쟁과 근대국가의 건설과정이 서로 달라 나타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여성작가 박완서와 장졔의 작품에서 전시의 극한 환경 속에 놓인 여성들은 각종 고난을 극복하면서 자기 정체성을 탐구하는 끈질긴 노력을 공통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런 측면에서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의식의 전개와 변화 발전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experience of war, the process of change of women's consciousness and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in Korean writer Park Wan-seo's “Is the mountain really there” and Chinese writer Zhang-Jie's “No Words” Both works have also looked at the way women actively overcome the crisis, problems, and hardships faced by women during the war period, from women's point of view.
    The writers belongs to a different country such as Korea and China. However, through the life of women in the war period reflected in both works, we could confirm the universality and commonality in finding the female identity and the impact of war on women's lives.
    First, because of the experience of war, the patriarchal ideology of women is sometimes strengthened and, on the other hand, divid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ld-generation women, the ideology of the patriarch can be found to be contradictory to the situation.
    In addition, the war is putting men on the front lin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ke a living. At this time, the women go out to the public space to solve the problem of living.
    As social life and workplace in public space, women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and constitute their own identity as human beings. Finally, the composition of individual growth and subjectivity can be confirmed that the element of experience provided by the society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within the human are developed in response to each other.
    The two works, Park Wan-seo's “Is the mountain really there” and Chinese writer Zhang-Jie's “No Words” show women,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experiences in the wake of the war,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life with their own strength and acquire personal independence through economic independence.
    The works of Park Wan-seo and Zhang-Jie, representative female writers of Korea and China, portrayed the way of exploring their identity while women overcome various hardships even in a difficult environment where they were threatened by war.
    This is a common aspect of female novels that narrate the war experience, and further, both novels can be evaluated as works that have meaning in terms of femi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