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승 및 유파․바디에 따른 분화 (Jeong Jeongryeol-je Choonhyangga's full transmission and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pansori schools or version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9.08
41P 미리보기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승 및 유파․바디에 따른 분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9호 / 415 ~ 455페이지
    · 저자명 : 송미경

    초록

    본 논문은 판소리 전승의 관점에서 정정렬제 춘향가의 정체와 범주를 명확히 하는 한편, 현대판소리에 남아있는 정정렬제 춘향가의 궤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전하는 정정렬 창 춘향가 소리 대목은 총 44개로, 사랑가 부분을 제외하고는 결연-이별-수난-재회 단락에 해당하는 대목이 거의 빠짐없이 갖추어져 있다. ‘이도령이 동헌으로 들어가는 대목’, ‘황릉묘 대목’, ‘어사가 춘향 집을 찾아가 위로하는 대목’은 현행 춘향가와 장단 구성을 달리하는 차이가 있고, ‘이도령이 춘향 집 찾은 연유를 밝히는 대목’은 현행 춘향가에서 아니리로 구사되며, ‘남원에서 춘향을 열녀 대우하는 대목’은 박록주 창본에만 유일하게 나타나던 것이다. ‘어사가 남원 사람들을 모아 잔치 배설하는 대목’은 현행 춘향가에서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부분으로 연극적 재미를 추구한 창극소리에 해당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조선성악연구회의 활발한 창극 공연 및 <빅타판 춘향전>, <오케판 춘향전>의 연이은 발매가 있었던 1936년~1937년이 정정렬제 춘향가의 재정립에 중요한 시기였을 뿐 아니라, 그 이전에 정정렬제 춘향가를 사사한 창자들의 소리와 그 이후에 사사한 창자들의 소리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자에는 박록주, 김여란, 김소희, 후자에는 김연수, 정광수, 박동진, 정광수, 강도근이 속한다. 또 하나, 김소희의 경우를 제외하면, 정정렬제 춘향가의 이러한 두 전승군은 정정렬제의 학습 시기에 따른 구분이면서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판 계승 여부에 따른 구분,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성별에 따른 구분이기도 하다. 정정렬은 제자를 가르칠 때, 즉흥적인 판 짜기를 염두에 둔 ‘옛날식 판소리’ 교수법과 판에 박은 소리를 염두에 둔 ‘근대적 판소리’ 교수법을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활용했다. 그 결과 정정렬제 춘향가의 전승에는 여성 창자 위주의 오롯한 전판 계승과 더불어 남성 창자 위주의 유파․바디에 따른 분화 두 양상이 공존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clarify the identity and category of the Jeong Jeongnyeol-je Chunhyangg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nsori transfer, while revealing the trajectory of Jeong Jeong-ryeol-je Chunhyangga, which remains in the modern pansori.
    Jeong Jeong-ryeol's Chunhyangga pansori part has been handed out to date, and except for the love song section, the pansori sec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love-separate-suffering-reunion paragraph, is almost complete. In the case of "Lee Doryeong enters Dongheon," "Hwangneungmyo song," and “The royal secret inspector visits Chunhyang's house to console 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ansori rhythm compared to Chunhyangga, which is currently held. "Why Yi Doryeong came to Chunhyang's House" is used in the form of an Aniri in the current Chunhyangga and "Chunhyang is treated as a virtuous woman in Namwon" is the only one included in Park Rokju’s Changbon. "The royal secret inspector gathers people of Namwon to give a feast" is a new part that is not found in Chunhyangga, which is now being held, and can be seen as the Changgeuk sori of pursuing theatrical fun.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period between 1936 and 1937, when the Joseon Traditional Vocal Music Group actively performed Changgeuk and the record companies released a series of Changgeuk records, such as <Vitor Chunhyangjeon> and <Okeh Chunhyangjeon>, was an important time for the re-establishment of the Jeong Jeong-ryeol-je Chunhyangga, and that the Chunhyangga of those who had learned it before 1936-1937 was different from those who had learned it after that period. The preceding group includes Park Rok-ju, Kim Yeo-ran and Kim So-hee, while the latter group includes Kim Yeon-soo, Jung Kwang-soo, Park Dong-jin, Jung Kwang-soo and Kang Do-geun. In addition, except for Kim So-hee, these two groups are divided by the time they have learned Jeong Jeong-ryeol-je, whether they inherit the Jeong Jeong-ryeol-je from beginning to end, and by the gender of male and female singers. In teaching his pupils, Jeong Jeong-ryeol chose to use the "old-fashioned pansori" teaching method with impromptu plate-making in mind and the "modern pansori" teaching method with stereotyped sounds in mind. As a result, there were two aspects of Jeong Jeongryeol-je Chunhyangga's succession: a female singer-centered succession, which was held as learned from beginning to end, and a male singer-centered succession, which was hel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nsori schools or ver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