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민참여재판제도의 문제점과그 대안으로서의 참심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 참심제와의 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 (Eine Studie für die Verbesserungsvorschläge des Volksbeteiligungssystems an Prozessverfahre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1.06
24P 미리보기
국민참여재판제도의 문제점과그 대안으로서의 참심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 참심제와의 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39권 / 4호 / 151 ~ 174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협

    초록

    법관의 자격을 소정의 시험과 교육을 통해 부여하는 것은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서 그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처럼 누구나 자신의 능력에 의해 법관의 자격을 취득하고 법관으로서의 직업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곧바로 사법제도의 민주적정당성에 관한 해묵은 논쟁에 면죄부를 주는 것은 아니라 할 것으로서, 사법부 역시 주권자인 국민에 의해 위임된 국가기관으로서 민주적정당성의 제고에 노력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한 방편으로서의 국민의 사법참여는 곧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또 하나의 보루로서의 사법의 본성을 회복하는 계기 역시 된다 할 것으로서, 이 같은 관점에서 오늘날 국민의 사법참여는 더 이상 미루거나 회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실을 전제하면서, 본 연구는 현행 국민참여재판제도의 1단계 시행기간(2008년-2012년)이 절반이상 지나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연관한 새로운 대안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모처럼 도입한 국민참여재판제도가 보다 더 합리적·발전적으로 착근하는데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재 우리의 경우 제한적인 조건하에서 배심제형 국민참여재판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나, 국민이 재판주체로 직접 참여함으로써 사법에 있어서 국민주권주의와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사법의 민주적정당성과 투명성을 제고함으로서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사법제도를 확립하려는 것이 국민참여재판제도의 목적임을 고려할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독일과 같은 참심제의 도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같은 참심제의 도입을 통해 구체적으로는 직업법관에 대한 민주적 견제와 감시기능, 제도운용상 효율성의 극대화, 다양성과 다원성이 증대된 오늘날 직업법관의 전문성 한계에 대한 보완과 그에 수반한 재판 전반의 합리성 제고 등의 장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만, 참심제의 도입을 통한 이와 같은 장점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사항을 충족할 필요가 있음을 아울러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국민참여재판의 대상범죄를 여성·청소년범죄를 포함하여 사기·횡령·배임 등과 같은 재산범죄로의 대폭적인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사법체계에 따른 특단의 예외적인 사정이 없는 한 법원의 자의적 판단에 의한 국민참여재판의 배제결정 범위를 최소한으로 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피고인의 의사번복 내지 공범관계에 있는 피고인의 거부에 의한 국민참여재판의 배제는 허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배심원의 자격과 관련한 연령적 제한으로 현재의 ‘만 20세 이상’은 재판이라는 특수성과 외국의 예를 보더라도 문제의 여지가 있다고 보여 지며, 따라서 참심법관의 경우에는 상당한 연령적 상향조정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참심법관의 선출방법에 있어서 현재와 같이 행정안전부로부터의 후보자에 관한 일괄적인 정보제공에 근거한 수동적인 선출방법보다는 다양한 경로를 통한 ‘지원·추천’과 같은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이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며, 선출된 참심법관의 임기 역시 독일과 같이 최소한 4-5년의 임기부여와 함께 임기 내의 재판참여 횟수의 제도적 보장과 이들에 대한 신변안전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또한 비록 명예직이기는 하나 안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참심재판의 실현을 위해 독일과 같이 필요한 범위 내에서는 거의 직업법관에 준하는 수준의 신분보장과 함께 공판 중의 기록열람권과 발언 및 질문권의 보장 등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으로서 우리의 사법체계나 현실 등을 감안하더라도 가능한 한 배심제적 요소의 혼합을 지양하면서 유·무죄에 대한 판단뿐만 아니라, 기타 양형에 관한 토의와 평결권의 보장 등 참심제에 충실한 권한보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Wenn heutzutage das problematischste Beispiel in dem koreanischen Gerichtssystem genannt werden soll, so ist es der Mangel an demokratischer Legitimität bei der Bildung des Gerichtshof. Und aufgrund der vielen Probleme, die das bisherige koreanische Gerichtssystem gezeigt hat, bedarf Korea meines Erachtens folglich der Veränderung zum volksbeteiligungen Gerichtssystem.
    In diesem Zusammenhang hat man in Korea 2007 das Gesetze für Volksbeteiligung an Prozessverfahren(Geschworenengericht) erreicht, die am 1. Januar 2008 in Kraft trat.
    Aber es wurde viel um die Verbesserung des Volksbeteiligungssystems bemueht, dennnoch hat das bestehende Geschworenengericht nach wie vor viele Probleme.
    Auf dieser Tatsachenbasis untersuchte die vorliegende Studie Probleme um das koreanische Volksbeteiligungssystem und die daraus folgenden Verbesserungsvorschläge.
    Als Fazit konnte festgestellt werden, dass der ehrenamtliche Richter im Gerichtssystem Deutschlands trotz seiner relativer Vielfalt und Komplexitaet dank gesammelten Erfahrungen aus der langen Geschichte und Traditionen als in hohem Masse systematisch und vernuenftig zu bewerten ist. Es wird daher auch zu einer stabilen Verwurzelung eines volksbeteiligungen Gerichtssystems in Korea beitrag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