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법 제814조에 관련된 최근의 판례 검토 (A Review of Recent Supreme Court Cases Relating to Article 814 of the Commercial Ac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0.02
36P 미리보기
상법 제814조에 관련된 최근의 판례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상사법연구 / 38권 / 4호 / 151 ~ 186페이지
    · 저자명 : 정준우

    초록

    해상운송인의 송하인 또는 수하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은 그 청구원인에 관계없이 수하인에게 운송물을 인도한 날 또는 인도할 날부터 1년 이내에 재판상청구가 없으면 소멸하는데, 이 기간은 당사자의 합의로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해상운송인이 제3자에게 운송을 위탁한 경우에 송하인 또는 수하인이 동 기간내에 운송인과 배상합의를 하거나 운송인에게 재판상 청구를 하였다면 그 합의또는 청구가 있은 날부터 3개월이 경과하기 전에는 그 제3자에 대한 해상운송인의 책임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소멸하지 않는데, 해상운송인과 그 제3자 간에위 단서와 동일한 취지의 약정이 있는 경우에도 같다. 이러한 상법 제814조의해석과 관련하여 그동안 논란이 있었는데, 최근에 이에 관한 대법원 판례가 3건나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법원 판례와 하급심 판결에서 다룬 사항들을 주요쟁점과 관련문제로 구분하여 검토하며 합리적인 해석론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주요쟁점인 해상운송인의 계약이행 완료시점, 정당한 수하인의 포섭범위, 단기 제척기간의 기산점, 제척기간의 도과 여부가 법원의 직권조사사항인지여부, 제814조 제2항의 ʻ제1항의 기간ʼ에 제1항 본문의 제척기간 외에 단서의 합의연장기간도 포함되는지에 관한 대법원의 판단은 해상운송의 특성과 해상운송인의 운송종료의무 및 제814조 제2항의 입법취지를 고려할 때 타당하다. 다만제소기간의 기산점인 ʻ운송물을 인도할 날ʼ이 언제인지를 명확히 판단하지 않은것은 아쉽다. 다음으로 관련문제인 복합운송주선인의 법적 지위, 복합운송에서의적용법규 확정방법에 관한 대법원 판례는 타당하지만, 복합운송주선인이 운송계약의 당사자로 되는 과정을 명확히 확인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 또한 이종책임주의에 기초한 제816조 제2항의 경우 운송거리가 가장 긴 구간에 적용되는 법규 및 운임이 가장 비싼 구간에 적용되는 법규 등에 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이를 좀 더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고, 비록 법률관계의 조속한 안정이라는 입법취지를 감안하더라도 해상운송인에게 고의·중과실이 있는 경우에도단기 제척기간을 적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위의 송하인과 수하인에게너무 불합리하므로 제외하는 것이 타당하다.

    영어초록

    Under the Commercial Act, the liability of the consignor or the consignee of the sea carrier shall be terminated without agreement in any trial within one year from the date of delivery or on the date of delivery to the consignee, regardless of the cause of the claim, but this period may be extended by agreement of the parties(Article 814 (1)). And if the consignor or the consignee has made an agreement with the carrier or made a legal claim to the carrier within the period of paragraph 1, if the sea carrier has entrusted the transportation to a third party, three months have elapsed since the date of the agreement or claim. The liability of the sea carrier to that third party shall not be extinguished in spite of paragraph 1(Artcile 814 (2)).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814 (1) and (2) of the Commercial Act, and three recent Supreme Court cases have been issued.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matters dealt with in the Supreme Court case and the lower court case by dividing them into major issues and related issues, and sought reasonable improvements.
    First, whether the completion of contract execution by the sea carrier, the scope of the just consignee, the starting point of the expulsion period, and the period extended by agreement by extension, in addition to the expiration period of paragraph 1, are included in the 'period of paragraph 1' specified in paragraph 2. The Supreme Court's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it makes sense is relevant when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However, it is a pity that we did not clearly determine when the ʻdelivery dateʼ will be calculated. Second,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how to determine the legal status of the mixed carrier and the laws that apply to the multimodal transport is valid, but it is a pity that the multimodal carrier has not clearly identified the process of becoming a party to a contract of carriage. Third, in the case of Article 816 (2) based on network liability system, there is a debate about the meaning of the regulations applied to the section with the longest distance and the most expensive section. Fourth, even if the legislative purpose of prompt stabilization of legal relation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application of a short period of time even if there is a deliberate or serious negligence on the sea carrier should be excluded, because it is too unreasonable for the carriers and consignees in relatively poor pos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