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정조대 만년제의 원형고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Research of Archetype of ManNyeonJe by King Jeong Jo in Josun Dynasty)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08.12
14P 미리보기
조선 정조대 만년제의 원형고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6권 / 4호 / 85 ~ 98페이지
    · 저자명 : 김영모, 김홍곤

    초록

    본 연구는 정조대 조성된 3대 제언 중 아직까지 그 실체가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은 만년제를 대상으로 하여 그 원형의 모습을 고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그 결과, 만년제 원래의 위치를 비정할 수 있었으며, 관련 기록을 토대로 만년제의 구조와 기능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기능에 있어서도 만년제는 단순히 수리시설로서 저수지로서만이 아니라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성되었음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고증된 만년제의 원형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년제의 위치는 기존에 제기되었던 현 중외제약 동측의 ‘만년저수지’가 아니라 현재 문화재로 지정된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152번지 일대가 원래의 위치임을 확증할 수 있었다.
    둘째, 만년제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하여 원소의 동구에 위치하여 풍수적인 수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 풍수적 목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현륭원을 명당 형국으로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수구를 기존의 방축수를 활용하여 의도적으로 저수지를 만든 것뿐만 아니라 수문의 방위를 의도적으로 오방(午防)으로 둔 점, 그리고 가운데의 섬(塊星)을 통하여 풍수적 명당의 형국(盤龍弄珠形)을 만들었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보다 분명하게 확인되었다.
    셋째, 만년제의 구조는 앞서 조성된 만석거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만석거가 한쪽만 제방을 쌓아(修築) 물길을 막은 산곡형 제언과는 다르게 주변 일대의 지류들이 모여드는 습지대를 소착(疏鑿)하여 조성1)하였으며, 상수문과 하수문 시설을 이용하여 항상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넷째, 만년제는 다른 제언들보다 복합적인 기능을 가졌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성경위에서 나타나듯이 원소 주변 일대의 지류들이 모여드는 동구에 만년제를 조성함으로서 비보적 요소(수구막이)로서의 활용과 만석거와 같이 현륭원 아래의 전토에 관개를 목적으로 하는 몽리(蒙利)의 기능, 이러한 제방적 기능에 더하여 현륭원을 참배하기 위한 어로로서의 기능도 하였다. 또한, 수목의 식재는 1차적으로는 수질정화(연꽃과 신이)와 제방의 구조적 보강(버드나무)은 물론 다른 제언에 나타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소나무와 버드나무로 대표되는 정조대 식생경관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본 연구는 사료에 기초하여 도면작업과 현장조사, 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만년제의 실체를 파악하는데에는 많은 진전이 있었다. 다만, 전면적인 발굴이 시행되지 않아 상수문과 하수문의 실체와 구조 문제, 사료에 등장하는 ‘신이’라는 식물에 대한 실체 등은 명확히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이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발굴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ManNyeonJe in Hwaseong is one of the irrigation facilities constructed for several purposes under the irrigation policy carried out by King JeongJo: to promote agriculture for prosperity and stability of life, to secure finance for management of HyeonRyungWon, and etc.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ascertain the original look of ManNyeonJe in Hwaseong, which played the other axis against Hwaseong fortress in construction of new city performed during the era of King JeongJo among the reservoirs developed as a part of the agriculture promotion and irrigation policy but has not been yet clarified on its real look and content. To clarify its content, we have approached from many aspects based on measurement of location of ManNyeonJe including its Fengshui features, entire scale and structure, function and scenery features, and etc. As a result, we have ascertained the original look of ManNyeonJe as follows:
    First, we have ascertained that ManNyeonJe was located originally in and around 152, Annyeong-dong, Hwaseong-si, Gyeonggi-do currently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although the other existing study results claim that it is 'ManNyeon Reservoir' located at the east side of Choongwae Pharma Corporation.
    Second, we have ascertained consideration of Fengshui on location features of ManNyeonJe because it was located at the entrance of WonSo(園所: a grave of king's family and relatives except for king and queen) to play a Fengshui based reservoir entrance. Fengshui features were definitely considered with the factors comprehensively thought of: that the reservoir was intentionally constructed by using the reservoir entrance with the existing reserved water required to form HyeonRyungWon so that it could look like a good site based on Fengshui; that the direction of floodgate was intentionally based on OBang(午防: Fengshui based Five Directions); and that a Fengshui based good site was created through the island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reservoir.
    Third, the structure of ManNyeonJe looks much different from that of ManSeokGeo that was built before ManNyeonJe. That is, ManNyeonJe had an upper floodgate and lower floodgate with the structure to keep a constant level of water volume totally different from ManSeokGeo that blocked the waterway with levee built only at one side.
    Fourth, we have ascertained that ManNyeonJe had multiple functions more than the functions claimed in the other studies. The north levee played not only a function of levee but also a waterway for worship at HyeonRyungWon. Besides, the plants forested showed not only firstly the role of water purification(by lotus and magnolia) and structural supplement of levee but also the typical look of forest view represented by pine and willow in the era of King Jeong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