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복합공간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 정보기술, 이동성에 따른 공간인지 변화의 관점에서 (Understanding the Place-ness of Urban Mix-used Complex: With a View of Space Perception related to Information Technology and Mobili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5.02
28P 미리보기
도시복합공간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 정보기술, 이동성에 따른 공간인지 변화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담론201 / 18권 / 1호 / 121 ~ 148페이지
    · 저자명 : 박창호, 김홍기

    초록

    이 글은 정보사회가 되면서 도시 건축이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시도이다. 정보기술로 인해 속도가 빨라지고 이동성의발달로 인해 거리개념이 달라지면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이해를 다르게 하도록 만들었다. 속도의 증가로 인한 시간의 축약이 인지적 측면에서 공간의 의미를 약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은 정보기술의 발달로 역동적인 특질을 보여주게 되었다. 속도에 의한 시간 압축은 장소성을 더욱 잃게 만들었고, 공간경계는중요치 않게 되었으며, 이동성은 도시공간에 대한 장소적 인지를 탈구획화했다.
    오늘날 도심은 그 역할이나 기능이 변화하였고, 도시생태학적인 면에서도 전통적인 접근방법으로 이해하는 데는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공간 구조와 장소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과거와 달리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복합건물의 등장은인간들의 상호작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주었고, 이전의 쇼핑이나, 이벤트 그리고 테마화 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소 이외에 다양한 매개공간을제공함으로써 장소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 도시복합공간의 매개공간으로서의 장소는 사람들 간에 다양한 활동을 도모하게 되고 상상을 이끌어내는 참여가가능해지게 되면서 장소성을 회복하게 된다. 시간에 의해 압도된 공간이 장소성으로 드러나게 된 것이다. 도시의 테마화한 복합건물은 우리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게 되고, 그 곳에서 공간의 구조를 체험하게 함으로써 더 이상 일시적이고 이행적이며 스쳐지나가는 탈장소적 공간으로서의 도시 들여다보기는 지양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던져준다. 도심의 복합공간을 통해 일부 공간들이 기억의 장소, 체험의 장소가 되면서 장소성을 회복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공간을 일률적으로 이해하는 기존의 시각과 달리 새로운 관점을 열어주는 공간에 대한 이해로서 테마화된복합공간을 보고자 한다. 그렇게 될 때 도시공간의 장소성 회복에 대한 기대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urban architecture withsocio-cultural perspective in the era of information society. Informationtechnology has transformed the understanding of the time and space due to thespeed and mobiliti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increase of speed isimplicitly diminishing the space perception, namely time and space have dynamicqualities these days, which it is related to the name of time space compression.
    The time compression caused by speed became more and more placeless. Spatialbarriers are less important and mobile facilities are developed in several forms.
    Urban center has lost its role and function by the speed and mobilities, so urbanecology has chang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In a word, it was shown that theidentity of place had disappear. However the appearance of urban complexmalls provide new space for the purpose of the interaction with human agents,even though it has the ares of shopping, event, and theme within a denselybuilt-up space. Such a space of urban complex is to restore the place-nessthrough imagination and participation of human to communicate with severalactivities. Space overwhelmed by time had transformed into place-ness.
    Accordingly, while information society has provoked the change of space like aflow space based on the time compression, urban theming complexes give usdifferent spaces and the structure of space within it affects the way in whichhuman acts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