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 정보보호협정의 체결형태에 관한 논란과 개선과제 (Legislative Oversight Debate and Response Concerning the Agreement on the Protection of Classified Information with Japa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2.12
29P 미리보기
한・일 정보보호협정의 체결형태에 관한 논란과 개선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57권 / 4호 / 137 ~ 165페이지
    · 저자명 : 정민정

    초록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 주로 미국과 많은 안보 협정을 체결하였다. 그 협정들은 당사국에게 부과하는 의무의 중대성과 대상 면에서 매우 다양하다. 어떠한 군사ㆍ안보 협정은 상호원조 또는 안전보장에 관한 조약, 국가나 국민에게 중대한 재정적 부담을 지우는 조약, 또는 입법사항에 관한 조약에 해당하여 그 조약의 체결ㆍ비준에 대하여 국회의 동의를 받았다. 한편 여타의 군사ㆍ안보 협정은 국회의 동의 없이 대통령이 스스로 체결하는 조약, 외교통상부 장관이 체결하는 고시류조약, 국방부 장관이 체결하는 기관간 약정의 형태로 체결되었다. (군사)정보보호약정은 지금까지 국회의 동의 없이 체결하는 조약 또는 기관간 약정의 형태로 체결되었다.
    2012년 6~7월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비밀정보의 보호에 관한 협정」(이하, 한ㆍ일 정보보호협정)의 체결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었다. 충분한 여론 수렴 및 국회와의 협의를 거치지 않은 채 정부가 협정안을 국무회의에서 비공개로 의결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국내에서는 국회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거나, 국회에서 논의한 뒤에 처리해야 한다고 거센 반발이 있었고, 결국 6월 29일 협정 체결 직전에 우리 측의 요청으로 체결이 연기되었다.
    이를 계기로 하여 다른 나라와 체결한 군사정보보호협정은 물론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체결한 모든 군사조약의 체결과정을 객관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먼저 논의의 발단이 되는 한ㆍ일 정보보호협정을 개관하고, 군사ㆍ안보조약의 체결과 관련한 우리나라와 다른 국가들의 관행을 살펴본 후, 국회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Republic of Korea is a party to numerous security agreements with other nations, primarily the United States. The topics covered, along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obligations imposed upon agreement parties, may vary. Some international security agreements entered by the Republic of Korea, such as those obliging parties to come to the defense of another in the event of an attack, those imposing substantial financial burden, or those having legislative effect, meet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and have been entered as treaties, ratified with the consent of the Legislature. Other agreements dealing with more technical matters, such as the protection of classified military information, are entered more routinely and usually take a form other than a treaty, ratified with the consent of the Legislature (i.e., as a treaty, ratified without the consent of the Legislature or an agency-to-agency arrangement).
    Occasionally, the substance and form of a proposed security agreement may become a source of dispute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executive branch. In 2012, the executive branch negotiated and was about to sign an Agreement on the Protection of Classified Information with Japan in furtherance of efforts to ensure the reciprocal protection of classified military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he Parties. The negotiations revealed a lack of domestic consensus regarding the prerogatives of the Legislature and the President with respect to this type of treaty – whether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for the legislative consent to the President entering into the treaty was met and whether prior consultation with the Legislature in a transparent manner was needed– even though the Republic of Korea previously had entered into many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s (GSOMIAs) with 23 countries and on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onths, a high profile debate about separation of powers played itself in the context of three pieces of legislation proposed by Members that would increase the Legislature’s role in concluding a treaty, and on the editorial page of newspapers. In this debate, the central separation-of-powers issue in the treaty formation context was not definitely resolved.
    It is likely that future disputes will arise between the political branches regarding the entering of international security agreements. Regardless of the form a security arrangement may take, the Legislature has several tools to exercise oversight regarding the negotiation, form, and conclusion of the agreement by the Republic of Korea. This paper begins by providing context concerning the negotiation and the text of the Agreement on the Protection of Classified Information with Japan. Next, the paper discusses historical precedents as to the types of international security agreements, with detailed attention paid to past security agreements entered by other countries. The paper discusses the oversight role that the Legislature exercises with respect to entering international security agreements involving the Republic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