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丁若鏞의 『周易』 「坤卦」 卦爻辭에 대한 解釋 (Yagyong Jung's Interpretation on the Languages of Hexagram and Lines of the Hexagram of Kun in 『the Book of Chang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9.04
37P 미리보기
丁若鏞의 『周易』 「坤卦」 卦爻辭에 대한 解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41호 / 33 ~ 69페이지
    · 저자명 : 정해왕

    초록

    易學史에 있어서 『周易』에 대한 해석관점은 크게 象數易과 義理易으로 나누어진다. 象數易은 『周易』의 기호와 언어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전제로 하여 그 매개인 象과 그에 적용되는 규칙에 따라 『周易』의 卦爻辭를 해석하려는 것으로서 漢代부터 성행하기 시작하였다. 義理易은 象數易의 방법에 견강부회의 요소가 많다고 비판하면서 『周易』을 주로 人事와 관련시킨 것으로서 魏晉時代부터 시작하여 이후 『周易』해석의 중요한 관점이 되었다. 茶山 丁若鏞은 이러한 두 학파의 관점을 섭렵, 그 내용들을 분석, 종합하면서도 象數易의 입장에서 『周易』을 해석하였다. 다만 그는 이전의 象數易의 해석방법에 불충분한 부분이 많아서 義理易의 비판을 받는 것이라 여기고, 그가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周易』 해석방법을 체계화하였다. 본 논문은 丁若鏞의 『周易』해석방법이 실제로 어떻게 『周易』의 卦爻辭해석에 쓰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쓰인 것으로서, 『周易』 텍스트 중에서도 坤卦의 卦爻辭를 선택하여 이러한 시도를 해본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histor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Changes』, there has been two major trends, that is the Doctrine of Images and Numbers and the Doctrine of the principles of righteousnes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Changes』. The former, beginning to be prevalent in the Han dynasty, asserts that the symbol and language used in the text of 『the Book of Changes』 are related each other, so asserts that the languages of hexagram and lines of the hexagram in 『the Book of Changes』should be interpreted, given the images of 『the Book of Changes』 and the rules related to them. The latter criticizes the former for the methods of the former having many forced analogies, preferably relating 『the Book of Changes』 to human affairs. The methods of the latter began in the age of Wei-Jin dynasty, from that time being prevalent for some time. Yagyong Jung, Tasan had read through books covering many sorts of fields of those two major trends,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contents, preferably standing on the view of the Doctrine of Images and Numbers. But he thought tha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Changes』the method of the view of the Doctrine of Images and Numbers had been criticized by the Doctrine of the principles of righteousness, so he had systematized the method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Changes』 which was valid, in viewing from his point of view. This treatise has been written to verify how his method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Changes』could be applied actually in the interpretation on the languages of hexagrams and lines in 『the Book of Changes』. The languages of hexagram and lines of the hexagram of Kun in the text of 『the Book of Changes』 have been selected for that ta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